영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추적 애플리케이션(앱)의 자체 개발 시도를 중단한다. 데이터를 확보하는 방식 대신 애플과 구글이 제시한 데이터 분산형으로 선회하기 위해서다. 기술 장벽과 개인정보 보호 침해 우려 등이 이유다.

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18일(현지시각) BBC테크크런치(Techchrunch)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블루투스 기반 중앙집중형 추적 모델에서 애플과 구글이 제시한 분산형 추적 모델로 개발 방식을 변경한다.

앞서 영국 공공의료서비스인 국민보건서비스(NHS)는 4월 블루투스 기반 ‘접촉 추적 앱(Contact Tracing)’을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NHS가 코로나19 치료와 연구를 위해 앱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직접 관리하는 방식이다. 확진자가 발생하면 정부가 접촉자에 해당 사실을 알린다.

하지만 NHS는 시범 운영을 거치면서 애플 아이폰에서 문제를 겪었다. 사용자간 블루투스 거리 인식에 문제가 발생했다. 개인정보 보호 침해 우려도 문제로 지적됐다. 정부가 앱을 통해 모은 데이터를 독점 관리한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그 해결책으로 애플과 구글이 제안한 방식이 제시됐다. 애플과 구글이 코로나19 확진자 추적을 위해 내놓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앱 개발 돕는 기초 소스 코드)는 분산형을 지향한다. 블루투스 기반이라는 점에서 NHS 개발 방식과 유사하다. 차이점은 앱에서 모인 데이터를 각 스마트폰에서 저장하는 분산 방식이다.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다.

국가 간 상호 운용성이 적다는 점도 NHS가 중앙 집중형 추적 모델을 포기한 배경이다. 영국에 앞서 독일과 이탈리아, 라트비아, 스위스 등 유럽 다수 국가가 개인정보 보호를 이유로 추적 방식을 분산형으로 선회했다. 중앙 집중형으로 개발할 시 유럽 기조와 달라 국경 간 관리가 어려워지게 된다.

테크크런치는 "영국이 중앙 집중형을 포기하고 분산 모델을 채택하려는 움직임은 놀랍지 않다"고 평가했다. 다만 인터뷰를 통해 "영국 정부가 개발 방식을 선회하기까지 왜 이렇게 많은 시간을 낭비했는지는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 애초에 애플과 구글의 분산형 모델이 유럽 대학의 컨소시엄 연구에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해당 컨소시엄에는 영국 런던대(UCL)도 포함됐다.

김평화 기자 peaceit@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