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그나칩 반도체가 중국 자본에 매각된다는 얘기는 사실이 아닙니다. 인수 자금은 중국 본토 외 지역(오프쇼어)에서 모은 글로벌 펀드를 통해 나오기 때문에, 중국에 기술이 유출될 일은 없습니다."

토종기업 매그나칩반도체(이하 매그나칩)가 중국계 사모펀드 ‘와이즈로드캐피털(WRC)’에 매각돼 핵심기술 유출이 우려된다는 각계 반응에 대한 김영준 대표의 호소다. 색안경을 벗어달라는 얘기다.

그는 WRC가 글로벌 ICT 기업에 장기적 관점으로 투자해온 사모펀드이며, 4대 원칙에 따라 회사 법적 구조가 바뀌거나 지식재산권(IP) 등 핵심기술이 유출되지 않을 것이란 점을 강조했다.

김영준 매그나칩 대표는 18일 IT조선과 가진 인터뷰에서 "매각을 통해 매그나칩을 진짜 글로벌 회사로 만드는 것이 꿈이다"라며 "특정 국적 기업이 아닌 글로벌 기업으로 커가는 과정을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김영준 매그나칩반도체 대표 / 매그나칩반도체
김영준 매그나칩반도체 대표 / 매그나칩반도체
뉴욕거래소에 상장한 매그나칩은 3월 25일(미국시각) 자사 미국 본사 주식 전량을 WRC와 관련 유한책임출자자들에게 매각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매각 거래 규모는 14억달러(1조6000억원)에 달한다.

정치권을 중심으로 이번 계약과 관련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중국계 사모펀드가 회사를 인수함으로써 국가 기간산업인 반도체 분야 핵심기술이 유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여론도 좋지않다. 매각에 반대한다는 청와대 청원까지 등장했다.

매그나칩은 산업기술보호법에 따라 자사 디스플레이 구동칩과 전력솔루션 사업이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는지 심사를 받는 중이다. 매각 여부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손에 달렸다. 중국계 사모펀드로 매각이 중국 자본으로 매각을 뜻하는지, 매그나칩이 보유한 사업이 국가핵심기술에 해당하는지가 관건이다. 김 대표는 두 가지 사안 모두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매그나칩이 미국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위임장에는 기업인수를 위한 자금이 중국 본토 외 지역에서 오기 때문에 중국 외환당국 승인절차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적혀 있다"며 "회사와 이사회가 이번 주식 거래를 결정한 핵심 이유 중 하나다"라고 말했다.

이어 "매그나칩의 디스플레이 구동칩(DDIC)과 파워솔루션이 동일 업종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인 것은 사실이지만, 첨단 수준의 국가핵심기술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메모리나 CPU 칩 대비 가격차가 수십배에서 수백배일 정도로 많은 기업들이 이미 보유한 범용 수준의 기술이다"라고 설명했다.

김영준 매그나칩반도체 대표 / 매그나칩반도체
김영준 매그나칩반도체 대표 / 매그나칩반도체
김 대표는 WRC가 지금까지 인수 후 연구소 및 생산시설을 변경한 적 없었고,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투자를 늘려 생산 시설 확충 및 R&D 투자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한 점이 매각을 결심한 이유라고 했다.

김 대표에 따르면, 그동안 싱가포르, 스위스, 네덜란드 등의 7개 기업에 대한 인수와 투자를 진행한 WRC는 전적으로 재무적 투자자임을 표방했다. 투자한 기업들이 글로벌 운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한다. 즉 ▲장기적 관점의 비즈니스 운영과 성장 보장 ▲본사·공장·R&D센터·IP 등을 바꾸거나 폐쇄하지 않음 ▲기업 법적 구조를 바꾸지 않음 ▲직원 해고나 경영진 교체 없음 등 4가지 원칙을 고수한다는 것이다.

매그나칩의 매출은 2020년 기준 5000억원쯤이다. DDIC가 60%, 파워솔루션이 40% 비중이다. 중국은 향후 회사 성장에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장이다. 전체 매출에서 중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65%에 달한다. 나머지 35%는 한국, 대만, 일본, 유럽 등에서 나온다.

매그나칩의 내부 인력은 생산본부인 구미에 450명, R&D 센터가 있는 청주에 250명, R&D 센터 겸 사무직이 근무하는 서울 200명 등 총 900명쯤이다.

김 대표는 회사 매각이 중국시장에 치중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며, 중국 인력 채용 등 우려가 될 수 있는 변화는 시도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디스플레이 고객사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글로벌 자본의 회사 인수를 통해 매그나칩의 제품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며 "중국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전역에서 고른 성장을 하는 기업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