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4년까지 공공 이용 디지털서비스 300개 확충, 국내 클라우드 전문기업수 3000개 달성, 클라우드 인재 1만명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이 6일 '제14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영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이 6일 '제14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영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일 제14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이하 전략위) 열고 제3차 클라우드컴퓨팅 기본계획을 의결했다.

정부는 2024년까지 클라우드 대전환을 통한 디지털 선도국가 도약을 목표로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우선 이용 ▲클라우드 산업 경쟁력 강화 ▲클라우드 산업 지속 성장을 위한 생태계 조성 등 3대 추진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그간 공공부문의 서비스 개발 시 대부분 공공 주도의 구축 방식(SI)으로 추진해 시스템 장애 등에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행정·공공기관 대상으로 클라우드 전환 컨설팅을 제공하고, 클라우드 전환 파급효과가 큰 분야에 혁신 선도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디지털 전환을 지원한다.

현재 공공부문에서 이용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SaaS)가 부족한 상황이므로, 공공 수요 기반의 SaaS 개발을 지원해 공공부문에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2020년 기준 15개에서 2024년 300개로 확충한다. 공공부문 디지털서비스 예산비중도 2020년 1%에서 2024년 10%로 확대한다.

행정·공공기관의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6대 공공분야의 주요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하거나 고도화한다. 6대 공공분야는 ​​전자정부 클라우드 플랫폼(행정), 전장관리시스템(국방), AI제조 플랫폼(제조), 디지털 농업 플랫폼(농업), 병원정보시스템(의료), 위기대응플랫폼(재난안전) 등이다.

클라우드 특성에 맞는 예산 집행이 가능하도록 2022년부터 종량제 적용, 정보화설계(ISP) 없이도 클라우드 이용 등 예산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현재 민간 클라우드 이용이 제한된 중앙행정기관, 지자체의 내부업무시스템에 대해서도 이용 확대를 검토할 계획이다.

조달체계 혁신을 통해 디지털서비스의 혁신제품 지정을 확대하고, 디지털서비스 구매 시 담당자 면책 및 구매 실적이 기관평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클라우드 기업의 수와 경쟁력 확대를 위해 중소기업 대상 클라우드 이용 바우처를 확대한다. 글로벌 기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소프트웨어기업 대상으로 SaaS 전환을 위한 비즈니스 및 기술 컨설팅, 투자유치 등을 지원한다. 예비창업자 및 스타트업 대상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 개발환경을 제공해 SaaS 전환 및 개발 활성화도 지원한다.

주요 산업별로 클라우드 인프라 기업을 중심으로 다수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협력해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는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통해 경쟁력을 갖춘 SaaS를 확대하고, 인프라-서비스 기업 간 협력 생태계도 강화한다.

서비스 기획 단계부터 글로벌화를 지원하고, 아시아 중심 거점화, 해외 주요국 정보화 프로젝트와 연계 등을 통해 글로벌 진출기업 수를 2020년 80개사에서 2024년 300개사로 늘린다.

클라우드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플랫폼 경쟁력 강화, 클라우드 전문인력 양성, 클라우드 기반 AI 연구 지원, 데이터센터 성장 기반 조성 등도 추진한다.

민·관·학 협력을 통해 대학 내 클라우드 교육과정을 확대하고, 클라우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소프트웨어·ICT 기업 대상 민간 교육전문기관과 매칭을 지원해 기업 맞춤형 인력 1만명을 양성한다.

인공지능 연구자 대상 클라우드 기반 고성능 컴퓨팅 자원(GPU) 제공, 고성능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 출시 지원, 국가 연구개발 사업 수행 시 민간 클라우드 우선 검토 절차 신설 등을 통해 클라우드 기반 연구개발을 활성화한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