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신경의학계에 도입되기 시작된 전자약·디지털치료제가 더 널리 보급되고 해외진출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특별법과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기원 와이브레인 대표는 15일 IT조선이 개최한 ‘디지털치료제 2021’ 웨비나를 통해 "전자약을 제도권으로 빠르게 올리기 위해 정부의 규제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기원 와이브레인 대표 / IT조선
이기원 와이브레인 대표 / IT조선
그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많은 임상 데이터를 확보한 것이 와이브레인의 글로벌 진출의 토대가 됐다며 정부가 특별법을 통해 규제를 완화해준다면 국내 전자약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극대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대표에 따르면 전자약은 우울증, 치매 등 ‘신경정신질환'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2012년 일본에서 5대 법정질환으로 포함되는 등 환자수와 사회적 비용이 가장 큰 질환군으로 올라섰지만, 기존 약물 치료로는 한계와 발전이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전자약은 이미 1990년대 ‘수술 기반 전기자극' 방식으로 세상에 등장한 바 있다. 하지만, 수술 방식은 안전성 확보와 의료기관의 인허가가 어려운 만큼 시장은 ‘비수술 전기자극'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전자약 시장에는 구글GSK, 리바노바, 메드트로닉 등의 업체가 참여 중이며, 시장 규모는 5조원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에 따르면 향후 전자약은 초소형 의료기기와 소프트웨어가 연동되는 하나의 서비스 형태로 발전될 가능성이 높다. 와이브레인 역시 온라인을 통해 수천명이 동시에 쓸 수 있는 시스템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기원 대표는 전자약을 빠르게 병원 등 제도권으로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 1위 기업과 파트너를 맺거나 병원과 학회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형원 기자 otakukim@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