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차 발사 만에 성공했고, 한국은 7대 우주강국 자리를 꿰찼다. 우주산업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한국무역협회 자료를 보면, 전 세계 우주산업 규모는 2020년 3710억달러(482조원)에서 2040년 1조1000억달러(1430조원)로 확장한다. 하지만 정부 주도로 강하게 드라이브한 프로젝트인 만큼 한국의 시장 규모는 글로벌 대비 1% 안팎 수준으로 초라하다. 미국이 항공우주국 중심에서 민간인 스페이스X로 무게 중심을 옮긴 것처럼, 한국 역시 그 과정을 따라가야 할 타이밍이라는 얘기다. 물론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숙제부터 처리해야 한다. 우주사업에 나서려고 해도 규제의 벽에 가로 막히거나 법규정이 없는 등 어려움이 크다. IT조선은 우리 우주산업의 현주소를 살피고, 기업의 애로사항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 <편집자주>

한컴인텔리전스는 야심차게 그룹사가 수집한 위성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디지털트윈과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 사업을 추진하려 했다. 하지만 규제의 높은 벽에 가로막혀 반보 진보도 어려운 실정이다. 위성에 거액을 쏟아 부었지만 헛물만 켠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사업화가 쉬운 해외 시장으로 무대를 옮기는 것을 검토한다.

디지털트윈은 현실세계의 기계나 장비, 사물 등을 컴퓨터 속 가상세계에 구현한 것을 말한다. 실제 제품을 만들기 전 모의실험을 통해 예측 가능한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용도로 활용한다.

한글과 컴퓨터의 민간위성 세종1호가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되는 모습 / 한글과컴퓨터
한글과 컴퓨터의 민간위성 세종1호가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되는 모습 / 한글과컴퓨터
11일 한컴 계열사인 한컴인텔리전스에 따르면, 국내 기업은 위성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마음대로 활용할 수 없다. 한국이 아닌 국외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더 쉬운 실정이다.

한컴인텔리전스는 한글과컴퓨터그룹의 주력계열사인 한컴MDS의 자회사다. 최근 플레이그램에 매각 됐지만, 아직은 한컴그룹 소속이다. 한컴그룹은 최근 인공위성을 쏘아올렸지만, 자사의 위성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국내에 내놓지 못해 발만 동동 구른다.

한컴인텔리전스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개최한 소프트웨어(SW)기업 현장 간담회에서도 이 같은 고충을 토로했다. 위성 데이터 관련 주무부처는 총 두곳이다. 국가공간정보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담당하고, 디지털 트윈은 과기정통부와 연관된다. 두 부처를 모두 설득해 가며 사업을 추진해야 하지만, 쉽지 않은 실정이다.

한컴인텔리전스 관계자는 "엔비디아의 어스-투(Earth-2) 같은 서비스를 한국에서도 만들고 싶었는데, 회사가 쏘아올린 위성의 영상을 다운받을 때 보안 검토만 6~8개월이 걸린다"며 "디지털 트윈과 메타버스를 활용해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시도해보고 싶지만 국내에서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어스-투는 엔비디아가 내놓은 프로젝트다. 기후 변화 시뮬레이션(모의시험)과 예측을 하기 위해 진행 중인 디지털트윈 서비스다. 엔비디아는 슈퍼 컴퓨터를 활용해 어스-투로 지구와 똑같은 환경의 가상 세계를 구현한다.

한컴인텔리전스도 대한민국 전역을 가상 세계로 구현하고자 했다. 하지만 규제의 벽에 가로막히자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일본 도시 구현을 타깃으로 변경했다.

한컴인텔리전스는 일본 도쿄를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트윈 핵심 도시로 만들기 위해 현지 기업과 논의에 들어갔다. 국내에서는 아직 민간기업이 촬영한 위성 데이터와 관련한 별다른 보안지침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자는 "국토부에서 제공하는 국가공간정보는 업데이트 주기가 1년쯤으로 길기 때문에 최신 데이터가 아니고, 별도의 고해상도 영상을 위해 지리 영상을 촬영 후 활용하는 과정에 제약이 있다"며 "오히려 해외에서 먼저 서비스를 한 다음에 국내로 가져오는 것이 빨라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에서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을 공급 중이기에 관련 상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일본 기업과 협의 중이다"고 말했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