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며 전 산업 분야에서 IT인력 수요가 급증했다. 하지만 공급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기업, 학계가 모두 힘을 합쳐 더 긴밀하고 정밀한 인재 양성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도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은 있지만 양적 부족과 질적 부족 현상이 모두 나타나기 때문이다.

 IT인력 양성 정책 국회 정책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변인호 기자
IT인력 양성 정책 국회 정책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변인호 기자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IT인력 양성 정책 국회 정책 토론회’에서는 IT분야 인력 부족 현황과 정부 정책 방향이 논의됐다. 이날 토론회는 콘텐츠미래융합포럼과 박찬대·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공동 주최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산업 전반에 걸쳐 개발자 양적·질적 부족 현상이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위정현 콘텐츠미래융합포럼 의장(중앙대 교수)은 기조발제자로 나서 "한국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2020년부터 5년간 IT인력 35만3000명이 필요한데 공급은 32만4000명으로 연평균 6000명쯤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면서 산업 전반에서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국내 기업은 지난해부터 개발 인력 확보를 위해 본격적으로 연봉 경쟁을 시작했다. 이는 국내 기업의 인건비 부담으로 이어졌다. 실제 넷마블은 올해 2분기 인건비가 전년 동기 대비 22.7% 늘었고, 컴투스 홀딩스도 20.7% 증가했다. 인건비 증가는 기업의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졌다.

질적 부족도 문제로 꼽힌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IT 관련 교육을 이수한 구직자들이 기본기 대신 코딩 테스트 통과 방법이나 학점 등 눈에 보이는 ‘스펙’에만 집중한 결과 기본기가 부실해 졌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 과정 변화가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박원철 카카오 부사장은 "최근 구직자들이 기본을 잘 모른다"며 "기본을 잘 모르면 아웃소싱을 뽑지 정직원으로 채용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딩 테스트는 학원을 다니면서 만점으로 통과하지만 면접에서 안 좋은 점수를 받는 사람들이 많다"며 "기본기가 탄탄한 사람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지인 건국대 실감미디어공유대학 사업단장은 "전공필수과목을 되도록 없애는 추세로 학사제도가 변하면서 극단적인 예도 생겼다"며 "컴퓨터공학과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학생인데 기본과목인 운영체제나 자료구조를 듣지 않고 학점이 좋게 나오는 과목만 듣고 수석 하는 사례도 실제로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도 손 놓고 있던 것은 아니었다. 정부는 올해 8월 2026년까지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디지털 전문 인재부터 인문·사회계열 등 각자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인재까지 양성 범위도 넓혔다. 교육 대상도 초·중생까지 내려갔다. 하지만 단기간에 인재 공급을 늘릴 수 없었다.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제도개혁으로 가야하고, 교육과정 개편으로 가야한다"며 "현실 진단도 정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인력양성은 총량을 키우면 된다고 하지만 분석해보면 어떤 인력이 어떻게 부족한지 구체적인 처방전을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