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정부가 심상치 않다. 블록체인 시장에서 별다른 두각을 보이지 않던 홍콩이 가상자산 시장을 육성한다고 공언하고 나섰다. 홍콩을 글로벌 코인 허브로 키워 영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일각에서는 가상자산을 포용하기 위한 중국의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홍콩 재경·재무부는 ‘가상자산 발전을 위한 성명’을 통해 가상자산 대한 전략과 규제 입장 공개했다. 가상자산의 잠재력을 인지하고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적절한 규제안을 마련한다는 내용이 골자다.

홍콩 정부는 성명에서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가 홍콩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라면서 "가상자산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홍콩 정부는 필요한 규제를 추가하거나 완화하는 방안을 적절한 시기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홍콩 증권선물위원회(HKSFC)는 새로운 라이선스 제도에 따라 개인 투자자가 가상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적절한 범위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홍콩통화청(HKMA)도 조만간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대한 윤곽을 공개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가상자산 선물 상장지수펀드(ETF) 상품 출시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발표했다. 우선 비트코인(BTC)와 이더리움(ETH) 연계를 허용하는 한편, 현지에서 3년 이상 상장지수펀드를 관리하고 규제를 모범적으로 준수한 기업에 한한다는 방침이다.

언론에 따르면 폴 찬(Paul Chan) 홍콩 재무장관은 "글로벌 가상자산 산업이 국제 금융 중심지인 홍콩의 위상을 100% 활용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

업계에서는 가상자산 대한 홍콩의 우호적 태도가 장기적으로 중국 정부의 가상자산 포용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대훈 SK증권 블록체인 팀장은 1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일국양제(一國兩制, 자본주의나 사회주의처럼 서로 다른 두 체제가 한 나라 안에서 공존하는 일)의 특성을 가진 홍콩을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의 중문으로 활용했다"며 "가상자산 시장은 제도화가 미비해 내륙 경제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한 채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홍콩을 앞세우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내다봤다.

이어, "중국은 현재 에너지 소비 및 자본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 영내 가상자산 채굴 및 거래를 금지하고 있으나 블록체인·웹3 기술 개발은 활발하다.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 속도도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며 "한때 가상자산 거래의 90% 이상 차지한 만큼 시장 내 중국 의 잠재력은 여전히 크다. 중국의 가상자산 대한 정책기조가 전환되면 시장 회복의 강력한 신호탄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조아라 기자 arch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