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메신저 바로톡 운영이 중단되면서 공무원용 메신저가 사라졌다. 이제 각 기관별로 민간 솔루션을 선택해 도입해야 한다. 클라우드보안인증(CSAP)을 획득한 솔루션을 가진 기업들의 경쟁이 시작됐다.

일각에서는 공공 메신저 시장이 CSAP ‘하’등급을 받는 외산 업체들에게도 개방될 가능성도 높게 평가된다.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메신저는 손에 익은 프로그램을 계속 사용하는 경향이 크다. CSAP 등급제가 본격 시작되기 전 시장 선점이 최우선 과제다.

메신저 이미지/ iclickart
메신저 이미지/ iclickart
4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민간 메신저 서비스 중 NHN두레이가 가장 많은 공공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CSAP를 획득한 메신저 서비스 포함 민간 솔루션은 ▲NHN 두레이 ▲KT클라우드 ‘KT비즈웍스’ ▲더존비즈온 ‘위하고V’ ▲가비아 ‘하이웍스’ ▲네이버 ‘네이버웍스’ 등이 대표 주자로 꼽힌다.

NHN두레이는 현재 외교부, 공무원연금공단뿐 아니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등 20개 이상의 공공기관이 도입해 쓰고 있다.

가비아 하이웍스의 공공 고객도 상당 규모다. 가비아 측은 보안상 이슈로 고객사를 직접 공개할 수 없지만, 하이웍스를 도입한 공공기관 수는 20곳 정도라고 밝혔다.

NHN두레이 측은 "높은 보안성을 바탕으로 꾸준히 쌓아온 공공시장 레퍼런스 덕에 시장 평가가 좋은 것 같다"고 평가했다.

CSAP를 획득한 솔루션을 가진 한 업체 관계자는 "바로톡 서비스가 중단됨에 따라 다양한 기관에 서비스 도입을 제안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고 말했다.

업체 간 경쟁은 불이 붙었지만, 부족한 정부 예산 탓에 기존처럼 카카오톡 같은 무료 메신저를 계속 쓰는 부처가 많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020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바로톡에 가입한 공무원 비율은 47.2% 수준이다. 나머지는 민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보안인증을 받지 않은 민간 서비스 사용 시 보안에 대한 우려는 있으나 공공 메신저 보안 관련 이슈가 아직 나오지 않았던 만큼 추후 정부가 공공 메신저 서비스를 CSAP 등급상 ‘하’로 정할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현재 CSAP 등급 관련 정해진 바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여러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경쟁을 막 시작한 민간 메신저 업체들이 긴장하고 있다.

CSAP 하 등급은 획득할 수 있는 외산업체들이 공공 메신저 시장에 들어오면 경쟁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메신저뿐 아니라 공공시장 진입을 위해 다양한 레퍼런스가 필요하다"며 "당장 눈에 보이는 메신저 사업을 따내려는것보다 공공에서의 이미지 확립을 위해 치열하게 경쟁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인애 기자 22na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