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류 가격 모니터링 나선 정부…자영업자 “공공요금 인상 여파 있다” 비판

북마크 완료!

마이페이지의 ‘북마크한 기사’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북마크한 기사 보러가기 close
입력 2023.02.28 10:22
주류 가격을 두고 정부, 업계, 자영업자들이 갈등을 빚고 있는 모양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은 최근 주류가격에 대한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주류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기 때문이다.

오는 4월부터 주세법이 개정되면서 맥주의 세율은 리터(ℓ)당 30.5원 오른 885.7원, 탁주는 1.5원 오른 44.4원으로 적용된다. 적용되는 세금 자체가 오르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시각이 높았다.

주세가 인상되진 않지만, 원가 부담이 커진 소주 제조업체들이 가격을 올릴 수 있을 거란 우려도 나왔다. 올해 제병업체들은 공급가를 병당 40원쯤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녹색병의 경우 180원에서 220원으로 오르게 됐다.

다만,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는 소줏값 인상을 검토하고 있지는 않다는 입장이다. 양사는 지난해 소주의 주원료인 주정값과 소주뚜껑 공급가가 오르면서 제품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오비맥주도 당분간 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소주가 진열돼 있다. / 뉴스1
하지만 향후 가격 인상 여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태다.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인건비 등이 모두 올라 업체들의 부담이 큰 상황이기 때문이다.

한 주류업계 관계자는 "제조업체 입장에서도 가격을 방어하겠지만, 원가 압박을 견디기 힘든 상황이다"면서 "세금 자체가 오르면 더욱이 방어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자영업자들은 가격이 오르는 데는 정부의 책임도 있는데, 애먼 곳으로 화살을 돌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기·가스 요금 등의 공공요금 인상이 도미노 물가 상승을 이끌었고, 결국 자영업자들이 식음료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공공요금을 올린 정부가 다른 가격은 인상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도 잇따른다.

서울 구로구에서 한식당을 운영하는 이 모(53)씨는 "가스비와 같은 공공요금, 배달비 등 할 것없이 전반적으로 다 올랐는데, 화살은 결국 음식이나 술값을 올린 자영업자들에게 돌아오는 것 같다"며 "자영업자끼리도 가격 경쟁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부, 공급업체와도 갈등을 빚고 있으니 힘이 든다"고 호소했다.

황혜빈 기자 empty@chosunbiz.com

0
주요 뉴스
지금 주목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