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다시 불고 있는 인공지능(AI) 열풍을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로 확산시켜나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런 방향으로 AI 상용화가 본격적으로 이뤄져야 AI 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인공지능 전망 AI 경영자 포럼’이 3월 8일 광화문 달개비에서 열렸다.  / 조상록 기자
‘대한민국 인공지능 전망 AI 경영자 포럼’이 3월 8일 광화문 달개비에서 열렸다. / 조상록 기자
8일 열린 ‘대한민국 인공지능 전망 AI 경영자 포럼’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은 "올해를 AI 기술 강화의 해로 삼고 AI를 생활 속으로 확산함과 동시 대규모 수요를 창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IT조선이 주최하고 과기정통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하 NIA),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하 NIPA)이 후원한 행사로, 올해 인공지능 정책 방향과 챗GPT 대응 방안, 효과적인 AI 운영을 위한 ML옵스플랫폼 활용 방법 등을 논의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일 열린  ‘대한민국 인공지능 전망 AI 경영자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 조상록 기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일 열린 ‘대한민국 인공지능 전망 AI 경영자 포럼’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 조상록 기자
이종호 장관은 축사를 통해 "최근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챗GPT는 이미 일상화된 스마트폰이나 PC를 통해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파급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며 "인간 수준의 언어 능력을 토대로 대화형 검색서비스, 콘텐츠 창작, 연구활동 보조 등 우리 일상 속에 스며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기조 강연에 나선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국장)도 "현 세대는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가는 세대"라며 지금 다가오고 있는 ‘생활 속 AI’를 강조했다.

‘생활 속 AI 시대 구현은 결국 AI 기반 비즈니스 모델이 풍부하게 만들어져야 가능하다’는 정우진 디지털엑스원 대표의 말이 국내 AI가 가야할 방향을 뚜렷하게 한다.

정우진 대표는 "챗GPT는 트렌드를 넘어 패러다임을 바꾸는 수준이다. 이제는 개인 업무에 적용해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조직 단계에서는 데이터의 학습과 프로세스, 시스템과의 연계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들이 비즈니스 개발 단계를 좀더 선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들의 경우 AI 기술이 비즈니스로까지 이어지는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은데, 다양한 서비스간 API 연동과 융복합을 통해 AI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한지운 메가존클라우드 센터장은 AI 산업의 성장과 필연적으로 따라올 수밖에 없는 해결 과제를 언급했다.

한지운 센터장은 "국내 AI 산업이 더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 구현에서의 제한된 인적 자원이나 활용 가능한 인프라 확보에서의 예산 제약, 자원 관리나 조직간 데이터 공유 문제,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에서의 연결과 상호운용성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지운 센터장은 AI 운영 자동화 도구인 ‘ML옵스 플랫폼’은 앞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하며 "기업이 최적의 머신러닝 모델을 빠르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ML옵스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포럼에는 과기정통부, NIA, NIPA,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서울시를 비롯해 메가존클라우드,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인텔, LG AI연구원, 신한은행, 하나은행, 건국대학교, 서울대학교 등 AI 분야 주요 기관, 기업 및 학계 인사들이 참석해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했다.

특히 수퍼빈, 와이즈넛, 루닛, 라이언로켓, 테스트웍스, 체인파트너스 등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스타트업들이 참여해 실제 AI 산업에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는 시간도 만들어졌다.

조상록 기자 jsrok@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