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행동주의 펀드를 중심으로 국내 은행의 주주환원율을 올리자는 목소리가 높지만 아직 국내에 적용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지적이다.

19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된 은행지주(금융지주) 8개사(신한, KB, 하나, 우리, JB, DGB, BNK, 기업은행)의 2021년 주주환원율은 21.8~27.2%로 OECD 회원국 은행지주 평년치인 49.2%를 현격히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석대상 30개국 중 20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같은 현상은 2013년 이후 지속적이라는 게 연구원의 진단이다.

한국금융연구원
한국금융연구원
주주환원율은 배당가능이익(우선주 배당 후) 대비 보통주 배당 및 자사주 매입 금액 비율로 이 수치가 높으면 그만큼 주주가 가져가는 몫이 많아진다는 뜻이다. 주주환원은 이론적으로는 해당 은행지주의 성과와 투자자 기대수익에 대한 신호로 작용, 주주가치 제고로 이어진다. 주가를 높일 수 있는 계기도 마련된다.

하지만, 한국금융연구원은 급격한 주주환원이 채권자의 부를 주주에게 이전한다는 점, 그리고 은행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주주환원의 급격한 상승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선을 그었다.

한국금융연구원의 서병호 선임연구위원과 권흥진 연구위원은 ‘국내 은행지주의 주주환원 정책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주주환원율이 높아지면 기존 채권자의 부를 주주에게 이전하는 효과가 있는데 은행지주 채권자의 상당수가 일반국민(예금자 및 금융채 투자자)라는 점을 고려하면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며 "해당은행이 부실화될 경우 채권자가 가져갈 자산을 주주에게 귀속시켜 채권자의 부를 주주에게 이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해당은행의 자본적정성이 악화될 경우 재무건전성의 악화로 이어진다"며 "은행은 부실시 금융시스템 안정과 경제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 은행의 건전성 측면에서도 국내 은행지주의 주주환원 정책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선을 그었다.

더군다나 지금은 코로나19로 인한 자산건전성 악화가 금융지원 정책 영향으로 아직 수면 위에 드러나지 않은 상황이다. 또 고금리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 침체, 최근 SVB파산과 크레딧스위스 리스크 등 악재가 산재한 상황이라 주주환원율 제고를 논할 시기로 부적절 하다는 게 금융연구원의 판단이다.

손희동 기자 sonny@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