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차세대 방송 송출 플랫폼 美 시장 진출

북마크 완료!

마이페이지의 ‘북마크한 기사’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북마크한 기사 보러가기 close
입력 2023.04.18 09:40
SK텔레콤이 미국 최대 미디어그룹 ‘싱클레어’에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방송 송출 플랫폼을 판매했다고 18일 밝혔다. 미국 방송시장에 진출한 셈이다.

모바일 에지 컴퓨팅은 이동통신 기지국과 근거리에 데이터 처리·저장을 위한 서버 등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한 후 데이터 전송 거리를 단축하고 초고속·초저지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SKT는 MEC 기반 차세대 방송 송출 플랫폼을 미국 싱클레어에 판매했다고 18일 밝혔다. SKT의 차세대 방송 솔루션이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이다. / SKT
SKT는 MEC 기술을 기반으로 방송 송출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가상화한다. 중앙 방송국은 지역 방송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미디어 에지(Media Edge) 플랫폼을 개발해 판매에 나섰다.

SKT의 미디어 에지 플랫폼은 델 테크놀로지스의 서버를 사용한다. SKT의 MEC 솔루션과 SK스퀘어와 싱클레어의 합작사인 캐스트닷에라(Cast.era)의 방송용 소프트웨어를 서버에 둔다. 이 서버는 미디어 송출 장비를 가상화해 준다.

미디어 에지 플랫폼의 가장 큰 특징은 중앙 방송국을 각 지역의 방송 송출 시스템과 연결하는 가상화 기술이라는 점이다. 기존에는 지역 방송국의 채널을 늘리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려면 관련 방송 송출 장비를 새로 구매해 설치해야 했다. 하지만 미디어 에지 플랫폼을 활용하면 중앙에서 지역 방송국 내 클라우드에 신규 어플리케이션을 원격 설치해 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방송사는 장비 구매 비용을 줄이고, 시스템의 운용 효율성은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미디어 에지 플랫폼은 UHD 방송 표준인 ATSC 3.0 기반 데이터 송출 기능을 지원한다. 방송사가 원하는 일정에 맞춰 방송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기존 영상과 음성으로만 제공되던 방송 서비스에 더해 지역 맞춤형 광고나 재난 등 비상상황 관련 실시간 알림 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KT는 ATSC 3.0 기반 방송이 상용화된 북미와 국내 방송국을 대상으로 미디어 에지 플랫폼 시장을 확대할 예정이다.

하민용 SKT 최고사업개발책임자(CDO)는 "북미 대표 방송사인 싱클레어, 글로벌 판매망을 갖춘 델과의 협력을 통해 미국을 시작으로 차세대 방송 서비스 혁신을 전세계로 확산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이진 기자 jinlee@chosunbiz.com

0
주요 뉴스
지금 주목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