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루나 사태의 발단은 테라 기반 디파이(Defi) 앵커프로토콜의 무리한 이자 지급에서 비롯됐다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하지만 이들이 처음 구상한 테라의 생태계는 지금과 사뭇 달랐다.

테라는 티몬과 같은 이커머스에서 '테라토큰'이 이용되는 가상자산 결제 생태계를 구축, 기존 결제 시스템을 보완해 소비자에게 이익을 돌려주겠다는 목표를 지향했다. 디파이에 기반한 생태계를 구축하게 된 건 나중의 이야기다.

'테라X'와 '테라토큰'

창업자들이 그린 첫 밑그림은 스테이블 코인 테라토큰이 가상자산 결제 디앱(DApp, 분산 애플리케이션) ‘테라X’에서 결제되도록 한 것이었다. 티몬의 자사 결제 옵션에 테라X를 추가하고 이용자는 앱을 통해 구입한 테라토큰을 선불 포인트인 ‘테라포인트’로 바꿔 충전, 이를 결제하는 방식이다.

비자나 마스터카드와 같은 결제 대행 옵션을 생각하면 된다. 결제되는 돈이 중개 사업자를 통한다는 점은 같다. 다만 발행사(은행)→PG사→VAN사를 거치던 중개 과정이 테라X로 단순화되고, 비용을 아껴 결제 시간 또한 단축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이 주장한 혁신이다.

초기 테라X 구현 예시 / 테라폼랩스
초기 테라X 구현 예시 / 테라폼랩스
당시 테라토큰으로 불린 것이 바로 지금 우리가 말하는 그 테라다. 2018년 공개된 첫 백서에서 테라토큰은 IMF(국제통화기금)의 특별인출권(SDR) 가치를 유지하는 단일 스테이블 코인으로 설계됐다. 테라팀은 이후 백서 수정을 통해 UST(달러 기반), KRT(원화 기반)와 같이 각국 법정화폐를 추종하는 형태로 발행하기로 계획을 변경했다.

신현성씨가 지속적으로 주장한 핵심 전략은 ‘전자상거래 할인’이다. 테라 생태계는 테라토큰의 주조차익을 사용자에게 할인혜택으로 되돌려주겠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주조차익은 새 화폐를 발행해 얻게되는 이익이다.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고 시장에 유통해 수익이 생기면, 이를 이용자들의 결제 할인에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언뜻 보면 사실상 불필요하고 위험하기까지 한 시도로 비춰질 수 있다. 가상자산 주조차익이 유의미한 수준으로 생기려면 테라X를 사용하는 가맹점이 아주 많아야 한다. 하지만 국내 금융당국이 "가상자산 거래소를 폐쇄하겠다"고 까지 선언하며 불편한 기색을 보였던 마당에 파트너사를 늘리는 일은 쉽지 않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테라가 시장의 믿음을 얻어낸 데에는 신현성 대표의 명성에 힘입은 바가 크다. 이미 이커머스 업계에서 한 차례 성공 신화를 만들어낸 그의 배경이 있었던 만큼 시장에서는 실생활에 연계된 가상자산의 실현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2018년 7월 공개된 테라 얼라이언스 / 테라
2018년 7월 공개된 테라 얼라이언스 / 테라
개발이 한창 진행되던 무렵, 테라는 테라토큰 결제를 도입할 ‘테라 얼라이언스’를 결성한다. 여기에는 신씨가 창업한 티몬을 비롯해 우아한형제들(배달의 민족), 야놀자, 한화갤러리아 등 국내 유수 기업부터 큐텐(Qoo10), 티키(TIKI)등 글로벌 기업들까지 참여했다.

루나의 첫 프라이빗 세일, 두나무까지 참여 성공

시장의 기대감이 더욱 고조되자 이들은 2018년 9월 공식적으로 가상자산 ‘루나(LUNA)’의 프라이빗세일(비공개로 진행되는 ICO)을 시작한다. 루나는 스테이블 코인 테라토큰 가격 유지를 위해 구상됐다. 이 구조를 간단하게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테라토큰의 수요가 줄어 가격이 떨어지면 루나를 발행해 테라를 사들여 가격을 높인다. 만일 테라토큰 수요가 늘면 토큰을 추가로 발행하고 주조차익으로 루나를 산 뒤 소각해 루나 유통량을 조절한다.

결과적으로는 테라 사용이 늘어날수록 루나 가격은 계속 오르는 것이 이 구조의 골자다. 테라는 이미 티몬과 더불어 국내외 많은 기업들과 결제 서비스 연동을 위한 연합을 맺었기에 루나의 가격 상승은 이미 예정된 것처럼 보였다.

루나는 첫 프라이빗세일에 개당 10센트, 한화 약 120원에 판매됐다. 최고가를 기록한 2022년 초 10만원을 넘었으니, 초기 프라이빗세일로 루나를 샀던 기관투자자들은 3년 만에 1000배의 이익을 본 것이다.

프라이빗세일에는 바이낸스랩스, 오케이엑스, 후오비캐피탈등의 해외 큰손들이 참여했고 국내에서는 두나무앤파트너스, 해시드, 네오플라이 등도 이 가격에 루나를 샀다. 당시 테라폼랩스가 유치한 초기 투자 규모는 350억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재미있는 사실을 덧붙이자면 루나의 프라이빗 세일은 일반적인 형태로 진행되지 않았다. 보통의 가상자산 ICO는 현금이 오가거나 계약서를 따로 쓰지 않고 오로지 '스마트계약'으로만 이뤄진다. 투자자가 일정량의 가상자산을 재단 지갑에 전송하면 스마트 계약에 따라 자동으로 토큰이 배포된다.

반면 테라폼랩스는 국내에 유령회사 ‘플렉시코퍼레이션’을 만들어 투자를 받고 그 대가로 루나를 지급했다. 당시 제도상 국내 법인이 가상자산에 직접 투자하는 것이 불법은 아니었다. 하지만 제도상의 미비점을 이유로 법적 이슈가 발생할 것을 고려, 이러한 형태를 취한 것으로 보인다. 2019년 플렉시코퍼레이션 지분을 사들인 곳은 카카오 계열의 카카오벤처스와 우리기술투자 등이다.


원재연 기자 wonjaeyeon@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