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인터넷 뱅킹 등 디지털 정보화 수준 달라
디지털 사용 어려운 고령층·취약계층 소외 우려
정부 "디지털 포용 생태계 조성" 추진

시중은행과 제2금융권 등 금융업계가 시니어·장애인·노약자 등의 디지털 소외를 방지하는 포용책을 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금융권 언택트(Untact·비대면) 거래가 늘자, 정부가 금융 취약계층이 소외 당하는 일이 없도록 디지털 포용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일 마이데이터 포럼에서 디지털 포용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국민은행
KB국민은행은 지난 1일 마이데이터 포럼에서 디지털 포용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국민은행
금융 거래 절차 간소화·모바일 접근성 강화

3일 금융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최근 마이데이터포럼에서 "KB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정말 필요한 계층에 주목하고 빠른 디지털 변화로 소외되는 이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KB국민은행은 보다 손쉬운 모바일뱅킹·송금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업그레이드 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KB국민은행은 바이오인증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정맥·목소리 등 바이오 정보를 이용한 인증은 기존 통장 거래와 달리 신분증·인감 등 일치 여부 확인 절차가 간소화돼 고령층의 거래 편의성을 강화한 대표적인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NH농협은행도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고령층이 많이 이용하는 영업점에 고령자 전담창구를 운영한다. 2019년 6월 말 기준 전체 영업점 1138곳 가운데 908곳에 전담창구를 두고 있다. 또 인터넷뱅킹과 모바일뱅킹에는 글자를 키우고 화면을 단순화한 '큰 글 뱅킹서비스'를 제공한다. 텔레뱅킹도 '느린 말 서비스'를 시행한다.

저축은행중앙회 역시 시력이 좋지 않은 노령층 고객을 위해 자사 모바일 앱에 '큰 글씨' 뱅킹서비스를 개시했다. 또 거래별 주요 핵심정보 위주로 간결하게 화면을 구성하고, 글씨 크기를 확대해 시니어 고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금융 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업권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가 출시하는 다양한 상품과 정책들을 금융 취약계층에 잘 설명하고 이 고객들을 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소외되는 계층이 없도록 적극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년층·취약계층 비대면 거래 여전히 서툴러

금융권에서 디지털 포용에 나선 이유는 일반 고객을 중심으로 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거래가 늘지만,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정보화 수준은 한참 뒤떨어진다는 지적 때문이다.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19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 따르면,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는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 대비 저조했다. 취약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 대비 저소득층이 87.8%, 장애인이 75.2%, 농어민이 70.6%, 고령층이 64.3%에 그쳤다. 정부가 나서 디지털 소외계층을 배려한 금융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배경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디지털 대전환기에 소외되거나 차별받는 국민이 발생하지 않도록 포용적 디지털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온 국민의 디지털 역량 강화,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합쳐 디지털 포용 사회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윤미혜 기자 mh.y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