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의 이중취업을 인정하는 일본 기업이 늘어나는 추세다. 정부 주도 겸업제 확산이 결실을 맺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업 경영자들도 ‘겸업은 직원 개인의 자유'라는 의식이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퍼스널총합연구소는 11일 부업·겸업 관련 조사결과 발표를 통해 2021년 3월 기준 직원들의 겸업을 인정하는 기업 수가 과반수 이상인 55%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일본 현지 기업 경영자 1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조사 결과다.

빌딩가 / 야후재팬
빌딩가 / 야후재팬
‘겸업을 전면적으로 인정'한다고 답한 기업은 전체의 23.7%, ‘조건부 겸업 인정'은 31.3%로 집계됐다. 눈에 띄는 것은 전면적으로 겸업을 인정한다고 답한 기업 수의 증가다. 2018년 업체가 같은 내용으로 조사한 결과값(14.4%)과 비교하면 9.3% 증가세를 보였다. 겸업 허용 기업 실태가 더 선명해졌다는 평가다.

겸업을 허용하는 회사는 설립년도 10년 미만인 스타트업과 대기업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설립 10년 미만 기업이 61.3%로 가장 높았고, 설립 10년 이상 20년 미만 기업이 53.9%로 뒤를 이었다. 기업 규모 측면에서도 10명 이상 100명 미만 기업 68%가 직원들의 겸업을 가장 많이 인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0명 이상 1만명 미만 중소기업보다 1만명이 넘는 대기업(53.6%)에서도 겸업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갖춘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이 직원들의 겸업을 인정한 가장 큰 이유는 ‘직원들의 수입 증대'(34.3%) 때문이다. ‘겸업을 금지해선 안된다'(26.9%), ‘직원 개인의 자유’(26.2%)라는 의견도 많았다. 3년째를 맞이한 일본정부 주도의 겸업제도 확산이 경영진들의 생각을 바꾸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업이 이중취업 제도를 도입한 배경에 대해서는 ‘다채로운 인재확보가 가능하다'(26.4%)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겸업 인재확보 경로는 ‘직원들의 소개'(39.9%)가 가장 많았고, ‘퇴직자'(22.3%)와 ‘인재소개 플랫폼'(20.4%)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이 겸업제도를 통해 확보하고자 하는 인재는 ‘ICT·정보 기술자'가 가장 많은 29.3%로 집계됐다. 그 다음으로는 ‘영업'(19.6%), ‘재무관리'(11.2%) 순으로 나타났다.

현지 기업들은 겸업제도의 과제로 ‘어려워진 노무관리'(12%)’와 ‘기업 노하우 유출'(8.7%)를 꼽았다.

아오야마 아카네 퍼스널총합연구소 연구원은 "기업이 겸업제 수용을 통해 우려하는 것은 크게 ‘본업에 플러스 효과'가 있는가와 ‘노동과다'와 ‘인재유출'이다"며 "본업과의 시너지는 기업이 직원들의 관점에서 겸업 내용을 컨트롤하면 되고, 노동과다의 경우 재택근무 증대를 통해 리스크를 낮출 수 있다. 인재유출은 직원들과의 커뮤니케이션 감소와 본업에 대한 불만이 근본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겸업제도와 연관짓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고 분석했다.

김형원 기자 otakukim@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