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대전환 시대 클라우드 도입을 고려하는 기업이 늘어나는 추세지만, 가짜 클라우드 피해도 주의해야 한다. 이른바 클라우드 워싱 문제다. 안전 장치 제공 차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확인제도가 생겼지만 아직까지 이용률이 높지 않다. 최소한의 피해 예방책인 만큼 확인제도 활용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클라우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일명 가짜 클라우드(클라우드 워싱)가 새로운 문제로 부상한다. 클라우드 워싱은 클라우드를 목적으로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지 않고 기존 구축형 소프트웨어를 데이터센터에 옮겨 클라우드 서비스라 주장하는 일종의 눈속임이다.

구축형 SW와 클라우드 SW는 구조 자체가 달라야 하지만, 기업들이 가격 체계만 따라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라 주장하며 고객을 기만하는 경우도 있다.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워싱 문제가 대두되자 가짜 클라우드를 가려내기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확인 제도가 만들어졌다.
​​

클라우드 서비스 이미지 / 아이클릭아트
클라우드 서비스 이미지 / 아이클릭아트
5일 한국클라우드산업협회(이하 협회)에 따르면 클라우드서비스 확인서 발급 건수는 최근 2년 새 늘었다. 2018년 15건에 그쳤던 발급건수는 2020년 71년, 2021년 69건으로 집계됐다. 2020년 클라우드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발급건수가 4배이상 증가한 것이다.

클라우드 서비스 확인제는 2015년부터 클라우드 서비스의 원활한 제공을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가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필수 특성을 협회가 점검해서 확인해주는 제도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주목받기 시작된 2010년부터 클라우드 워싱 논란은 있었다. 미래 전략 기술로 주목을 받으니 일부 기업이 클라우드의 인기에 편승하기 위해 마케팅 목적으로 ‘클라우드'란 표현을 남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고의성 보다는 무지로 인한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 관계자는 "고의성이 있는 클라우드 워싱보다는 클라우드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사례가 대부분이라 기업명은 공개가 어렵다"며 "이런 기업의 경우 컨설팅을 통해 클라우드서비스 확인제의 진위여부 점검을 통가하도록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2020년 정부의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전환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 확인제 수요가 늘었다"며 "클라우드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산을 위해 세미나와 콘퍼런스 등을 열 계획이다"고 부연했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