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조선산업 불황 및 설비 효율화 등을 위해 2017년 이내에 포항제철소 1고로(이하 포항 1고로)를 폐쇄할 예정이었지만 최근 입장을 바꿔 가동을 계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포스코 한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철강 수급환경이 나아지면서 (포항 1고로 관련) 폐쇄 관련 얘기가 쏙 들어갔다"며 "현재는 포항 1고로 폐쇄를 검토할 상황은 아니고, 가동 기한을 별도로 정해두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전경. / 조선일보DB
포스코 포항제철소 전경. / 조선일보DB
대일(對日) 청구권 자금으로 지은 포항 1고로는 우리나라 최장수 용광로로 철강 역사의 뿌리이자 한국 경제 성장의 산 증인으로 꼽힌다. 1973년 6월부터 가동돼 45년 가까이 연간 130만톤의 쇳물을 생산했다.

포항시는 6월 증설을 마무리 한 포항 3고로 화입식에서 권오준 회장에게 포항 1고로를 박물관 건립 등 철강산업 현장을 담은 관광코스로 개발하자는 의견을 전달했다. 포항 3고로를 447만톤에서 511만톤으로 증설해 만든 것은 포항 1고로가 폐쇄될 경우 줄어드는 생산량을 대체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포스코가 내부적으로 폐쇄 추진을 철회하면서 이 같은 계획은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포항시도 포스코 측이 포항 1고로의 관광자원화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포항시 한 관계자는 "시는 포항 1고로 폐쇄를 대비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자고 제안했지만, 포스코에서 어떤 답변도 내놓지 않았다"며 "정권이 바뀌기도 했고 포항 1고로 가동을 지속할 필요성도 있고 포스코에 고로 폐쇄를 강요할 명분도 없다"고 말했다.

포스코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포항시와 특별히 협약을 진행하거나 구체화한 것은 없다"며 "포항 1고로 폐쇄는 검토를 하겠다는 의미였고, (폐쇄를 철회하는 것은) 개별 기업이 판단할 문제다"라고 말했다.

철강업계에서는 포항 1고로 폐쇄 추진이 박근혜 정부의 5대 취약산업(기초화학제품 제조업·철강 제조업·조선업·건설업·해운업) 구조조정 정책에 휩쓸려 급조된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당시 철강업계는 정부가 업계의 특성을 감안하지 않고 기계적인 구조조정을 추진하려 한다며, 설비를 감축하면 중국·일본 철강업체의 영향력만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5대산업 구조조정 논의가 본격화 했을 당시 현대제철의 인천 단조공장 폐쇄, 동국제강의 포항 2후판공장 매각이 진행되고 있어 포스코도 가장 오래된 포항 1고로 폐쇄를 검토하겠다고 구조조정안을 내놓을 수밖에 없는 정황이 있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