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결제와 고객 데이터 공유하는 오픈뱅킹
30일부터 시범, 12월 19일 정식 서비스
소비자는 똘똘한 앱 하나만 있으면 돼
혜택과 편리 찾아 옮겨가는 ‘금융노마드’
소비자 친화 혁신 서비스 제공이 성패 좌우
서비스 선점 핀테크 사업자 우위 전망

앱 하나로 모든 은행 계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오픈뱅킹(Open Banking)제도가 30일부터 시범 시행된다. 오픈뱅킹은 한 은행이 보유한 결제 기능과 고객 데이터를 다른 금융기관과 공유하는 제도다. 업계는 오픈뱅킹이 핀테크 업체와 기존 금융 서비스 간 혁신을 두고 진검 승부가 펼쳐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오픈뱅킹 서비스./ 금융위 제공
오픈뱅킹 서비스./ 금융위 제공
30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날부터 오픈뱅킹 시범 서비스가 가동된다. 이날 오전 9시부터 ▲NH농협 ▲신한 ▲우리 ▲KEB하나 ▲IBK기업 ▲KB국민 ▲BNK부산 ▲제주 ▲전북 ▲BNK경남은행 등 10개 은행에서 시작된다.

KDB산업·SC제일·한국씨티·수협·대구·광주·케이뱅크·카카오뱅크 등 8개 은행은 12월 18일부터 순차 참여한다. 다만 30일부터 18개 은행 모두 이체와 조회 등 정보제공에는 참여한다.

오픈뱅킹이 시행되면 이용자는 은행 앱 하나로 타행 계좌를 확인하거나 타행 계좌 입출금 등을 할 수 있다. 여기에 대출과 자산관리, 금융상품 비교구매 등까지 가능하다. 서비스 수수료도 줄어든다. 기존 입출금 시 발생했던 400~500원 가량의 수수료는 20~40원 수준으로 대폭 낮아진다.

오픈뱅킹 이후부터 기존 금융권 이용자 확보 경쟁에 불이 붙을 전망이다. 오픈뱅킹을 전후로 은행권 행보도 빨라졌다. BNK부산은 자사 앱에서 QR코드나 바코드로 결제할 때 잔액이 부족하면 타행계좌에서 충전해 결제하는 서비스를 내놨다.

KB국민은행도 자산관리와 외환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 NH농협은 모임서비스와 더치페이 서비스 등을 준비 중이다. 신한은행은 신한은행 계좌가 없어도 신한쏠에 회원가입만 해도 타행계좌를 등록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 카카오페이 제공
./ 카카오페이 제공
소비자에 혁신 서비스 얼마나 제공하느냐에

업계는 단순 이용자 확보 경쟁이 아닌, 얼마나 혁신적인 서비스를 내놓느냐가 오픈뱅킹 시대 성패를 가름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용자들은 하나의 은행이나 앱 만으로 모든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필요한 앱 하나만 선택해 이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리나 부가서비스 등 제공혜택에 따라 편리한 서비스를 찾아 이동하는 ‘금융 노마드'가 출현할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금융 노마드를 붙잡기 위한 기존 금융권의 갈 길은 멀다. 이미 토스와 뱅크샐러드, 카카오페이 등 핀테크 업체가 모든 계좌현황을 한 눈에 보고 계좌이체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이용자를 확보했다. 토스와 카카오페이는 사실상 송금 수수료가 무료이기도 한데다, 간편보험 가입과 투자 등 각종 금융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이미 이용자수에서도 기존 금융 서비스를 넘어선 상태다. 29일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에 따르면 올해 9월 한달 간 가장 많이 이용한 금융 서비스 앱 2위와 3위는 토스와 카카오뱅크였다. 1위는 삼성페이였다. 3위부터 6위까지는 KB국민은행과 NH스마트뱅킹, 신한쏠 등 기존 은행권 앱이 차지했다.

핀테크 사업자들은 혁신 속도도 빠르다. 심지어 정부도 이들이 기존 은행권과 유사한 지위에서 맞대결에 나설 수 있도록 정책을 펼 계획이다. 금융위는 오픈뱅킹을 시작으로 핀테크 결제사업자들이 기존 은행을 거치지 않고도, 독자적으로 자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2020년 중 결제자금을 보유하지 않고 정보만으로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페이먼트 등을 도입해 핀테크 업체가 가능한 사업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이다"라며 "지급결제 분야 뿐 아니라 데이터 분야로 오픈뱅킹의 외연을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결국 기존 금융권들이 얼마나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내놓느냐가 오픈뱅킹 시대 기존 금융권들의 과제가 될 전망이다.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위원은 "단순히 외형적인 성장을 추구하기보다는 누가 고객에게 더 편리한 가치를 주느냐를 두고 기존 금융회사들의 경영 철학도 바뀌고 있다"며 "금융회사들은 고객 편의성 증대를 위한 혁신적 기술 도입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게 될 것이다"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