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연차 총회에서 인시아드(프랑스 경영대학원)와 아데코(다국적 HR회사)가 공동으로 ‘세계인적자원경쟁력지수 2019’를 발표했다. 한국은 125개국 중에서 27위로 평가되었다. 노사협력(119위), 계층이동(109위), 고위직승진(109위), 채용 및 해고 용이성(76위), 개방성(70위), 이민자에 대한 관용(85위) 등이 특히 낮게 평가 되었다.

IQ도 높다 하고 교육열도 높은 나라로서 인적자원 경쟁력의 성적표에 어리둥절하다. 개개인의 능력을 키우는 교육시스템에도 문제가 없는 건 아니지만 역시 개인의 능력이 국가의 경쟁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시스템이 뒤쳐져 있다는 분석이다. 출중한 선수를 스카우트했더라도 지도자, 훈련, 보상체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좋은 성적을 낼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인사청문회를 보더라도 일을 중심에 놓고 일을 잘 수행할 사람을 발탁하는 게 아니라 도덕 검증을 하고 있다. 범법자는 법으로 제어하더라도 도덕은 개인한테 맡겨야 한다. 다주택자라 결격 사유가 되었다 하면 해외 토픽감이다. 자신들이 기준을 잘 못 설정해 놓으니 문제가 되고 말았다.

미국의 대통령이나 당선자 모두 대한민국의 기준으로는 부적격자이다. 각종 루머, 스캔들, 탈세의혹, 자녀의 마약, 불륜 등등 이루 헤아릴 수 없다. 도덕과 이념으로 무장된 국가인지 경쟁력 있는 나라인지 국가의 지향점을 정해야 한다.

경쟁력 있는 국가를 만들려면 미래 인재의 교육, 인재 선발 제도, 각 조직의 일의 분석, 해당 일의 방식, 일의 목표와 성과 관리 등을 혁신해야 한다. 일을 관리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할 능력과 체계가 안 갖춰져 있으니 사람을 관리하려고 한다. 그 것도 사람 관리도 제대로 못하니 시간 관리를 한다. 전세계 선진국을 다니면서 출퇴근 시간을 체크해 복무 감사를 하는 걸 보지 못했다. 이거 하나만 봐도 우리의 인사관리가 얼마나 후진적인지 알 수 있다. 산업화 시대의 일과 시간을 관리하던 방식이다. 자율성과 창의성은 찾을 수 없다.

야구 선수가 타이어를 묶어 놓고 하루 밤에 수천개씩 두드리는 건 누가 훈련시간을 체크 해서가 아니다. 본인이 실적(일)을 잘 내기 위한 스스로의 노력인 것이다. 코로나로 재택근무를 한다 하지만 우리 환경에서는 방기(放棄)가 될 가능성이 크다. 경쟁력과 생산성이 더 떨어질까 우려된다. 선진국의 여러 회사가 코로나가 끝나더라도 건물을 폐쇄해 버리고 재택근무를 상시적으로 시행한다고 한다. 일을 관리하는 체제가 갖춰졌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지난 정부에서 ‘인사혁신처’라는 신생 조직을 출범시키고 민간기업에서 처장을 영입하는 것을 보고 국가 경영의 핵심을 간파하고 있는 것 같아 반긴 적이 있다. 그러나 정권이 바뀌기도 했지만 인사 분야에 혁신이 없는 것을 보면 갈 길이 멀다는 생각이 든다.

소관사무를 들여다 보면 왜 조직을 분리시켰나 의구심이 들 정도이다. 인사정책의 수립, 인사행정분야의 혁신, 인재채용, 인사관리, 인재개발, 윤리〮복무〮연금〮소청에 관한 사무 등 기존에 하던 대로이다.

세계 인적자원 경쟁력평가에서 보듯이 개개인의 능력뿐 아니라 인재들이 능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 지난 정부에서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 전 공무원들 대상 성과급제도를 적용하겠다고 난리법석을 떨다 정권이 바뀌며 되돌린 일도 있다.

경쟁을 도외시 하는 정부도 문제지만 제대로 준비도 안 된 정책을 추진해 잡음 만 일으킨 정부도 답답하다. 인사가 만사라고 사람을 키우고 적재적소에 발탁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코로나가 아니더라도 경쟁력 있는 국가로 도약하려면 제대로 된 인사 혁신이 시급하다

김홍진 워크이노베이션랩 대표는 KT 사장을 지냈으며 40년간 IT분야에서 일한 전문가다. '김홍진의 IT 확대경’ 칼럼으로 그의 독특한 시각과 IT 전문지식을 통해 세상읽기를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