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명품 직구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점은 ‘100% 정품’ 여부로 나타났다. 캐치패션이 최근 1년 이내 해외직구로 명품의류·잡화 구매 경험이 있는 2049세대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10명 중 7명이 코로나19가 시작된 최근 2년 이내 명품 해외직구를 시작했다고 응답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명품 해외직구를 시작한 시점으로 ▲1~2년 이내가 33.8% ▲1년 이내가 33.4%로 합치면 67%를 넘는다. ▲2년 이상은 32.8%로 나타났다. 20대 남성 중 1년 이내 명품 해외직구를 시작한 비중이 43%에 달했으며, 코로나 이후 해외직구를 시작한 비중은 총 77%를 차지했다. 20대 여성도 68.7%로 조사되는 등 MZ세대의 명품에 대한 높은 관심이 나타났다.
명품 구매 설문조사 결과 인포그래픽. / 캐치패션
최근 1년간 해외직구 명품 의류·잡화 구매에 지출한 금액에 대한 질문에는 ‘200~300만원 미만’이 2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100~200만원 미만’(25.6%), ‘300~500만원 미만’(19.2%) 순으로 조사됐다. 200만원 이상 지출했다는 응답이 무려 60%에 달하고, 500만원 이상 썼다는 응답자도 10%를 넘어섰다.
해외직구 명품의류·잡화 구매 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 ‘100% 정품’(31%)이 1위로 꼽혔다. 정가품 걱정없이 쇼핑하기 위해 손품을 팔아 해외직구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관부가세를 포함한 최종 구매가 확인(14.6%) ▲최저가(13.1%) ▲상세한 상품 정보 제공(12%) 등이 뒤를 이었다.
해외직구 이용 경로에 대한 질문에는 ‘해외직구 사이트 직접 방문’(22.3%) 방식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국내에서 운영되는 플랫폼 중 ‘해외직구 가격 비교 사이트’(18.1%)가 뒤를 이었다. 이어 ‘오픈마켓 해외직구 서비스’, ‘구매대행 사이트’ 등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우창 캐치패션 대표는 "코로나 이후 해외여행 등이 제한되면서 직구 시장이 커지고 있다. 특히 명품 소비자들은 구매 경험이 늘수록 직접 100% 정품 최저가를 찾는 노력을 하게 되고, 취향과 개성에 따라 선호하는 브랜드와 상품에 대한 안목도 높아진다.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상품을 찾고 새로운 브랜드 경험을 위해서도 해외직구 이용이 늘어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