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만든지 10년이 넘은 애플, 삼성전자도 못 고치는 고질병이 있다. 바로 사진을 촬영할 때 발생하는 '플리커 현상'이다. 실내 촬영 때마다 발생하는 검은 줄과 얼룩이 이용자의 짜증을 유발한다. 꾸준히 제기된 제품 결함이지만, 스마트폰 제조사는 개선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 카메라 모듈을 만드는 부품업체 역시 내 탓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IT조선은 플리커 현상 사례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살펴봤다. <편집자주>

스마트폰이 디지털카메라 시장을 잠식했다. 무려 5000만 화소 크기로 장면을 담아내는 카메라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등 폰카 전성시대가 열렸다. 하지만 디지털카메라 업계를 한동안 괴롭혔던 플리커 현상이 스마트폰에도 발생하며 고객의 불만을 높인다.

스마트폰 업계는 카메라 회사들과 달리 플리커 현상에 대해 잘못이라고 인정하지 않는다. 카메라 부품을 납품하는 업체들은 완제품 업체에 플리커 현상 발생의 책임이 있다며 떠넘기는 형국이다. 결과적으로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만 피해를 보는 처지다. 플리커 현상은 기술적으로 개선이 어려운 문제일까.

26일 스마트폰 및 카메라 분야 전문가들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 대부분에서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평가한다. 글로벌 1, 2위 기업인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은 물론 다른 기업 단말기에서도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 제조사 스스로 플리커 현상에 대한 기술 한계를 인정하고 원만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플리커 현상은 조명이 껐다 켜짐을 반복하는 시간보다 카메라의 셔터스피드가 더 빠를 때 발생한다. 빛의 양이 적은 곳에서 폰카로 촬영한 사진에는 검은색 줄이 생기는 식이다.

갤럭시Z플립3 / 삼성전자
갤럭시Z플립3 / 삼성전자
소비자가 플리커 현상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셔터스피드를 조명의 깜빡임보다 느리게 하는 것이다. 다만, 셔터스피드를 낮추면 찰나의 순간을 담는 사진이 흔들리는 핸드블러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검은줄이 싫어 선명한 사진을 포기하는 악순환이 발생하는 셈이다.

스마트폰에서 발생하는 플리커 현상에 대한 해결책은 디지털카메라 업계의 대응법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카메라 업계는 제품에 안티 플리커 등 플리커 현상 차단 기능을 추가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카메라 업계를 선도하는 캐논 등 제조사는 애초에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에게 플리커 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는 고장이 난 것이 아니라고 안내한다. 간혹 제품에 문제가 생겼다고 오해한 고객이 서비스센터를 방문하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또한, 카메라 업계는 셔터 스피드를 낮춘 후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감도를 높여 노출을 확보한 사진 촬영법이나 삼각대 이용 등을 권장한다. 일부 카메라는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는 '플리커 저감 기능'을 내장하기도 했다. 해당 기능을 설정하면 촬영 시 조명의 깜빡임을 카메라가 감지한 후 촬영 타이밍을 조절한다.

캐논 한 관계자는 "안티 플리커 기능은 2018년 DSLR 카메라에 처음 적용됐다"며 "플리커 현상은 물리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현상이지만 어느 정도 통제가 가능하고, 현재 시중에서 판매하는 미러리스 카메라까지 안정적으로 플리커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안티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플 아이폰13 프로 / 애플
애플 아이폰13 프로 / 애플
플리커 현상이 카메라 자체의 문제보다 조명의 영향을 받는 이슈인 만큼 완벽한 통제가 어렵다는 평가도 있다. 조명의 파장 차이에 따른 모든 값을 카메라가 제어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제조사가 우회적으로라도 플리커 현상을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제품 출시 전 사전 테스트까지 면밀히 한다면, 제조사는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는 명분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업계 한 관계자는 "사전 보정이나 사후 보정 상관없이 사진 결과물에 문제가 없다면, 소비자는 플리커 현상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며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에서 사전 보정이 어렵다면 후보정을 하는 형태로 플리커 현상 문제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유정 기자 uzzoni@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