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품 투자에 관심을 가진 이들이 쉬이 빠지는 딜레마가 있다. 가격이 비싸더라도 검증된 인기·유명 작가의 작품을 사느냐, 발전 가능성과 자신의 예술 심미안을 믿고 신진 작가의 작품을 싼 가격에 사느냐다.

예술품 거래 시장은 어느쪽을 선호할까? 실제 투자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을까? 2018년 세계 예술품 딜러·경매회사가 거래한 예술품 가격대와 거래액 비중을 살펴보자.

이 기간 딜러가 거래한 예술품 10개 중 4개(40%)가 5000달러~5만달러(599만~5994만원)대, 비교적 가격이 싼 작품이었다. 경매회사도 비슷했다. 가격대 1000달러(119만원)이하 예술품 거래 비중이 38.8%다.

예술품 거래 시장서 비싼 작품의 가격 기준은 100만달러(12억원)쯤이다. 비싼 작품의 거래액 규모는 연간 딜러 거래액의 40%, 경매회사 거래액의 60.9%를 차지할 정도로 크다. 그런데, 거래 비중은 딜러 3%, 경매회사 0.6%로 아주 적다.

비싼 예술품은 ‘거래 빈도는 적으나 전체 거래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는 결론이 나온다.

딜레마라고 표현했으나, 사실 예술품 구매자 대부분은 대중에게 잘 알려진 작품, 유명 작가의 작품을 사기 원한다. 싼 작품은 시장에서 자주 거래되지만, 이후에도 거래가 이어지리라는 보장이 없다.

반면, 비싸지만, 잘 알려졌거나 유명 작가의 작품은 ‘시장으로부터 가치를 인정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개인 취향에 의존해 예술품을 샀을 때 생길 수 있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비싼 예술품은 한번 거래가 이뤄지면 다음 거래 성립까지 수년에서 수십년이 걸리기도 한다. 그만큼 거래될 때마다 가격은 천정부지로 뛰어오른다.

최근 10년간(2008년~2018년) 세계 경매회사에서 거래된 예술품 Top100의 낙찰 금액은 400만~4억5000만달러(48억~5400억원)다. 비싼 예술품은 거래액 자체가 다르다. 정량적 측면에서 ‘비싼 예술품이 투자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는 이야기다.

예술품 거래 시장과 경제성장률은 정의 관계다. 세계 경제 변화와 예술 시장의 추이는 비슷한 흐름을 보인다. 그런데, 예술품 가격대에 따라 상관계수가 달라진다. 비싼 예술품과 세계 GDP 성장률 상관계수는 싼 예술품과 세계 GDP 성장률 상관계수보다 작다. 즉, ‘비싼 예술품 거래는 경기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

빈도는 낮을 지 모르나, 거래액은 훨씬 크다.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 받은데다 유명해 거래가 꾸준히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경기 영향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 비싼 예술품의 특징이다. 따라서 싼 예술품에 투자하기보다는 비싼 예술품에 투자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한국에서도 예술품을 통한 대체투자가 주목 받고 있다. 그런데, 한국 예술품 투자는 대부분 비싼 예술품, 투자 리스크가 덜한 작품을 다루지 않는다.

십시일반 방식 크라우드펀딩·예술품 공동구매가 이 예다. 일견 매력적이다. 하지만, 예술품 고유위험(idiosyncratic risk)에 고스란히 노출된 나머지 ‘제어할 수 있는 재무 리스크를 전혀 관리할 수 없는’ 비전문적 구조다.

늘 강조하는 이야기다. 아직 한국에서는 예술품과 거래 시장에 대한 이해도, 연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진정한 의미의 예술품 투자 시장을 만들려면 이해와 연구부터 선행해야 한다.

※ 외부필자 원고는 IT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홍기훈 교수(PhD, CFA, FRM)는 홍익대학교 경영대 재무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경제학 박사 취득 후 시드니공과대학교(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경영대에서 근무했다. 금융위원회 테크자문단을 포함해 다양한 정책 자문 활동 중이다.

박지혜는 홍익대 경영대 재무전공 박사 과정을 밟는다. ‘미술관 전시여부와 작품가격의 관계’ 논문,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 ‘미술품 담보대출 보증 지원 사업 계획[안] 연구’ 용역 진행 등 아트 파이낸스 전반을 연구한다. 우베멘토 아트파이낸스 팀장으로 아트펀드 포럼 진행, ‘THE ART FINANCE Weekly Report’를 발행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