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뽀얀 육수에 가래떡 송송 썰어 넣고 끓인 뒤에 계란지단, 파, 김 등을 고명으로 솔솔 뿌려 마무리하는 떡국. 새해엔 뜨끈한 떡국을 한 그릇 먹어야 비로소 나이를 한 살 더 먹었다고 할 수 있다.

 

지금이야 맘만 먹으면 언제든 먹을 수 있는 음식이지만 그 옛날 ‘떡국’은 귀하디 귀한 음식이었다. 하얀 쌀밥이 로망이던 시절, 쌀로 빚은 떡은 잔치 때나 돼야 먹을 수 있었다.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변하면서 설 풍경도 점차 변하고 있다지만 설날 아침에 떡국을 먹는 풍습만큼은 변하지 않고 잘 이어져 오고 있다.

 

문득 다른 나라는 새해에 무엇을 먹는지 궁금해진다. 우리나라의 ‘떡국’처럼 이웃 나라들도 새해가 되면 특별히 먹는 음식이 있다.

 

 

일본 “신넨 아케마시떼 오메데또 고자이마스”

 

 

가까운 이웃 나라 일본도 떡국을 먹는다. 이른바 ‘거울떡’이라고 하는 카가미모치는 마치 눈사람같다. 새해가 오기 전 미리 만들어 장식품처럼 진열해놓고 신에게 복을 빈다. 찹쌀떡을 두 개 쌓아 올리고 그 위에 장식품을 올려 마무리 한다. 새해가 밝으면 조니라는 된장국에 이 카가미모치를 넣어 끓여서 마을 사람들과 나눠먹었다. 이것을 오조니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의 떡국과 비슷하다. 일본에서도 오조니를 먹어야 나이를 먹었다고 한다고.

 

일본만의 독특한 설 음식으로는 오세치요리가 있다. 이 요리는 접시에 하나씩 담지 않고 찬합에 여러 가지 반찬을 가지런히 담아 도시락처럼 저장해놓는다. 일본에서의 설은 ‘오곡’을 지키는 신을 맞이하는 의미가 있어서 설 명절 기간 동안에는 불을 쓰지 않았다. 그래서 음식을 미리 만들어 내 찬합에 저장하던 것이 지금의 오세치요리가 된 것.

 

지금은 2~3층에 그치지만 옛날에는 5층까지 쌓아 올려 보기만 해도 배가 불렀다고. 반찬으로 들어가는 재료들은 하나하나가 의미를 담고 있다. 검은콩은 복, 멸치는 풍작, 새우는 장수 등을 기원한다.

 

명절 기간에는 준비해둔 음식을 꺼내 먹기만 하면 되니 일본의 며느리들은 설 명절이 휴가인 셈이다.

 

 

중국 “신 니엔 하오”

 

중국에서 가장 큰 명절인 설날, 즉 ‘춘절’은 귀향으로 민족 대이동이 일어난다. 중국 대륙은 워낙 땅 덩이가 넓어 귀향하는 데만 10시간이 넘게 걸리기도 한다. 넓은 데다가 민족도 다양해 새해 음식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중국도 떡과 딤섬을 챙겨먹는데 주로 남방지역이 떡, 북방지역이 딤섬을 먹는다.

 

 

떡은 녠가오와 탕위안이 손꼽힌다. 녠가오는 동그랗게 썬 가래떡을 간장소스를 넣고 소고기, 채소와 함께 볶은 것으로 ‘年高(해마다 높게 올라감)’와 발음이 비슷해 복을 기원하며 먹는 음식이다. 탕위안은 끓인 설탕물에 과일과 팥앙금이 든 찹쌀떡을 넣고 조린 음식으로 디저트로 적당하다.

 

딤섬은 중국의 옛날 돈 원보와 닮아서 먹으면 재물 운이 좋아진다고 한다. 딤섬 안에 실제 동전을 넣고 쪄내 가족들과 나눠 먹다가 동전이 든 딤섬을 먹은 사람에게는 세뱃돈을 더 주는 풍습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두부나 배추 소를 넣지만 새해에는 의미를 담아 독특한 소를 넣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은 행복을 상징하는 사탕, 승진을 상징하는 찹쌀떡, 장수를 상징하는 국수 등이다. 맛있을 것 같지는 않다. 새해 복을 입에다 쏘옥 넣어 흡수하고 싶은 그들의 마음만 이해하자.

 

 

베트남 “춘몽 남므이”

 

베트남도 우리나라처럼 음력 설을 지낸다. ‘텟’이라 불리는 이 명절은 베트남에서 가장 큰 명절이다. 1주일의 긴 휴가가 주어지고 오토바이로 가득하던 거리도 이 때가 되면 한산해진다.

 

베트남은 설음식도 쌀국수일까? 그렇지 않다. 가장 대표적인 음식은 ‘반쯩’이다. 찰밥 안에 녹두와 돼지고기를 넣어 네모나게 만든 반쯩은 바나나 잎으로 하나씩 포장해둔다. 액운과 잡기를 없앤다는 이 음식은 손님이 오면 떡처럼 잘라 대접한다.

 

베트남에서는 새해에 손님을 대접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첫 손님은 특히 좋은 기운의 사람을 모시는 것에 혈안이다. 명절 기간 중 불행을 맞은 사람은 식사에 초청되지 않기도 한다.

 

베트남은 특별히 새해에 먹는 음식보다 먹지 말아야 할 음식을 기억해야 한다. 오리고기와 새우는 불행이 닥친다고 해서 절대 먹지 않는다. 미리 준비한 수박을 잘라 익은 정도를 보고 한 해를 점치기도 한다.

 

 

이탈리아 “누오보 아노 펠리체”

 

이탈리아는 새해에 부를 상징하는 음식을 먹는다. 돼지족발을 닮은 ‘잠포네’가 그 중 하나. 돼지의 다리가 땅을 긁지 않아 부자로 살게 해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잠포네는 돼지다리에서 뼈를 발라내고 껍질 속을 다진 고기로 채워 다시 다리모양을 만드는 음식이다. ‘코테치노’ 역시 부를 상징하는 요리다. 돼지로 만든 소시지에 콩을 곁들인 건강식이다. 세계 5대 건강식품 중 하나인 렌틸콩으로 만든 수프도 부를 상징하는 음식 중 하나다.

 

 

그리스 “Eutychismenos ho kainourgios cronos”

 

그리스는 새해 첫날보다 부활절을 중요하게 쇤다. 새해에는 성자 바질을 기념하는 정도의 날로 ‘바실로피타’라는 케이크를 새해 아침에 커피와 함께 먹는다. 피타는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케이크가 아닌 화덕에 구운 얇은 밀가루 빵인데 카스텔라와 비슷한 맛이다. 케이크를 먹을 때 안에 동전을 하나 넣어 동전이 든 조각을 먹은 사람은 일년 내내 행운이 깃든다고 여긴다.

 

 

네덜란드 “프레틱허 페이스트닥헌 앤 헐루컥 뉴야르”

 

 

폭죽으로 새해를 맞는 네덜란드는 서로의 뺨에 뽀뽀를 세 번 하며 새해인사를 나눈다. 그들의 새해 음식은 과일을 넣고 튀긴 찹쌀 도넛 ‘올리볼렌’, 삼각형 모양의 패스트리 안에 사과와 계피가 들어간 ‘아펠플라픈’, 동그란 패스트리 안에 사과가 들어있는 ‘아펠벤예’ 등으로 모두 튀긴 빵이다.

 

새해에 튀긴 음식을 먹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기름진 음식을 먹어서 귀신들을 미끄러트린다는 설과 추운 겨울에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해서 먹는다는 설이 대표적이다.  

 

연말이 되면 벌써부터 이곳저곳에서 달달한 올리볼렌을 튀기는 냄새가 진동한다. 온 가족이 갓 튀긴 따끈한 올리볼렌을 나누며 한 해의 행운을 기원한다.

 

 

러시아 “스 노빔 고돔”

 

새해 벽두부터 보드카를 마시는 나라는 역시 러시아다. 우리나라로 따지면 귀밝이술의 일환인 ‘윗가’를 마시며 한 해의 안녕을 빈다. 그런데 사실 러시아의 새해 식탁엔 윗가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적어도 3~4 종류의 주류가 더 비치된다. 그래서 새해 연휴엔 사건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고.

 

 

미국 “해피 뉴 이어”

 

검은콩, 쌀, 돼지고기와 각종 채소를 넣고 토마토소스에 자작하게 끓인 ‘호핑 존’은 흑인 노예들이 즐겨먹던 음식이었다. 재료 하나하나가 전부 부를 기원한다. 검은콩은 동전을 상징하고 갓, 케일, 순무 잎 등 각종 푸른 채소는 지폐의 푸른 색을 닮았다.

 

 

이란 “슬레 노 모브락”

 

이란은 ‘시’ 발음으로 시작하는 일곱가지 재료를 이용해 음식을 만든다. 마늘(시르), 식초(세르케), 사과(십) 등이 그것인데 풍요, 즐거움, 건강 등을 상징한다. 테이블 데코가 독특한데 가운데에 살아 있는 금붕어를 어항에 담아 내놓는다. 물론 먹는 것은 아니다.

 

 

이 밖에도 멕시코는 1월 1일 0시에 시계탑의 종이 12번 울릴 때 포도알을 하나씩 먹으며 소원을 빈다. 포도알 하나에 소원 한 개씩이다. 12개월의 소원을 찰나에 비는 것이다.

 

각 나라의 새해 음식을 살펴봤는데 결국 부자가 되고 싶은 마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같다는 사실만 남았다.

 

부자… 좋지 아니한가. 이번 설 명절에는 떡국과 함께 다른 나라의 부자가 되는 음식도 함께 즐기며 글로벌하게 소원을 빌어보는 것은 어떨는지.

 

IT조선 염아영 기자 yeomah@chosunbiz.com

상품전문 뉴스채널 <IT조선(it.chosun.co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