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데이터센터 기능을 소프트웨어(SW)로 구현한 SW 정의 데이터센터 플랫폼 '기가 SDDC'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SW 정의 데이터센터는 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 등 하드웨어(HW)로 구성된 데이터센터의 기능을 SW로 구현한 것이다.
SW 정의 데이터센터는 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 등 하드웨어(HW)로 구성된 데이터센터의 기능을 SW로 구현한 것이다.

KT는 2018년부터 기가 SDDC를 KT 자체 데이터센터에 적용하고 국내외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를 시작한다.
기가 SDDC는 기존 데이터센터의 최상위 스위치부터 범용 서버까지 모든 인프라를 가상화하고,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는 것을 돕는다.
또 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를 필요한 만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특정 HW 제조사의 제품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인프라의 확장성·유연성도 높다. 뛰어나다. HW 구입·운용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이강수 KT 인프라서비스단장 상무는 "기가 SDDC 기반으로 국내외 B2B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
기가 SDDC는 기존 데이터센터의 최상위 스위치부터 범용 서버까지 모든 인프라를 가상화하고,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운영·관리할 수 있는 것을 돕는다.
또 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를 필요한 만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고, 특정 HW 제조사의 제품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인프라의 확장성·유연성도 높다. 뛰어나다. HW 구입·운용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
이강수 KT 인프라서비스단장 상무는 "기가 SDDC 기반으로 국내외 B2B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