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 SK텔레콤 사장이 2018년 연봉으로 35억600만원 받았다.
1일 SK텔레콤이 공시한 2018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박 사장은 급여로 11억5000만원, 상여금으로 23억5000만원 등 총 35억600만원의 보수를 지급받았다.
박 사장은 2017년 급여 보수로 7억7200만원, 기타보수로 900만원을 지급받은 바 있다. 또 2017년 3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스톡옵션 6만6504주를 추가로 부여받았다.
1일 SK텔레콤이 공시한 2018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박 사장은 급여로 11억5000만원, 상여금으로 23억5000만원 등 총 35억600만원의 보수를 지급받았다.
박 사장은 2017년 급여 보수로 7억7200만원, 기타보수로 900만원을 지급받은 바 있다. 또 2017년 3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스톡옵션 6만6504주를 추가로 부여받았다.

SK텔레콤은 연간 성과에 대한 경영성과급으로 '타깃 인센티브'와 '이익 공유'(프로핏 쉐어링)를 시행 중이다. 대표이사의 성과보수 지급은 매출액, 영업이익으로 구성된 계량지표와 리더십, 전략 과제달성도, 전문성 및 기타 회사 경영성과 기여도로 구성된 비계량지표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기준연봉의 최대 250%까지 지급한다.
박 사장은 2017년에 매출액 17조5200억원, 영업이익 1조5366억원을 달성해 2014년 이후 3년 만에 매출 반등(턴어라운드)에 성공하며 계량지표 측면에서 성과를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2017년에 국가고객만족도(NCSI) 20년 연속 1위를 달성하고 KS-SQI 및 KCSI 등 국내 3대 고객만족도 평가에서 최장 기간 연속 1위에 올랐다. 2017년 말 기준 가입자 3000만명을 돌파하며 이동통신사업의 리더십을 공고히 했고, 데이터와 AI 역량 등 뉴 ICT 영역의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해 미디어/IoT/커머스사업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회사는 박 사장이 ICT 영역 투자회사의 전략적 리포지셔닝 및 협업 체계 구축을 통해 기술, 컨텐츠 등 핵심 경쟁 기반을 확보하는 등 SK텔레콤의 중장기적 기업가치 창출에 있어 탁월한 성과를 창출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경영성과급 23억5000만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등기임원인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2018년 급여 2억6900만원, 상여 3억원 및 기타 근로소득을 포함해 총 5억7900만원을 지급받았다.
박 사장은 2017년에 매출액 17조5200억원, 영업이익 1조5366억원을 달성해 2014년 이후 3년 만에 매출 반등(턴어라운드)에 성공하며 계량지표 측면에서 성과를 달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2017년에 국가고객만족도(NCSI) 20년 연속 1위를 달성하고 KS-SQI 및 KCSI 등 국내 3대 고객만족도 평가에서 최장 기간 연속 1위에 올랐다. 2017년 말 기준 가입자 3000만명을 돌파하며 이동통신사업의 리더십을 공고히 했고, 데이터와 AI 역량 등 뉴 ICT 영역의 핵심 기술 확보를 통해 미디어/IoT/커머스사업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회사는 박 사장이 ICT 영역 투자회사의 전략적 리포지셔닝 및 협업 체계 구축을 통해 기술, 컨텐츠 등 핵심 경쟁 기반을 확보하는 등 SK텔레콤의 중장기적 기업가치 창출에 있어 탁월한 성과를 창출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경영성과급 23억5000만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등기임원인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2018년 급여 2억6900만원, 상여 3억원 및 기타 근로소득을 포함해 총 5억7900만원을 지급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