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술 자립화를 위해 ‘연구개발(R&D) 핵심품목’을 85개 추가하고, 2022년까지 R&D 고도화 등 차세대 분야에 7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를 개최하고 총 4건의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4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경쟁력강화위원회는 7월 9일 ‘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을 발표한 이후 처음 개최한 것이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소부장 2.0 전략을 토대로 ‘소부장 특별법’에 근거한 5년 단위 법정계획인 ‘소부장산업 경쟁력강화 기본계획’이 수립돼 심의·의결됐다.

위원회는 일본 수출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기존 100개 R&D 핵심품목에 85개 항목을 추가한다. 1.0 전략이 대(對)일본 중심이었다면 코로나19 등 대내외 환경 변화에 무게를 둔 2.0 전략의 방향성을 이어간 것이다.

정부는 이들 품목에 대해 단기간 내 상용화(43개)에 집중하거나,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42개) 쪽에 초점을 맞추는 등 맞춤형 R&D 전략을 추진한다.

미래 공급망을 창출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반도체나 마이크로 LED, 전고체 전지와 같은 미래선도품목도 발굴하기로 했다.

R&D투자 전략 다각화를 통해 2022년까지 소부장을 포함한 차세대 분야에 7조원 이상을 투자한다.

정부는 이날 제1차 소부장산업 경쟁력 강화 기본계획도 심의·의결했다.

기본계획은 ‘338+α개’ 주력산업 및 신산업 핵심 소부장품목을 집중 관리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공세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정부는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매년 ‘소부장산업 경쟁력강화 시행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정부는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5건도 승인했다. 대상 품목은 기계 분야 핵심모듈, 고부가 광학·점접착용 화학소재 등이다. 주력 산업에 필수적이지만, 현재 전량 또는 대부분을 특정 국가에 의존하는 품목이다.

이번에 승인된 협력모델에선 수요기업과 공급기업이 공동으로 출자해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협력방식이 시도된다.

정부는 참여기업에 R&D 및 정책금융, 인력·인프라 규제 특례 등 맞춤형 패키지를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 5건도 승인했다. 대상 품목은 기계 분야 핵심모듈, 고부가 광학·점접착용 화학소재 등이다. 주력 산업에 필수적이지만, 현재 전량 또는 대부분이 특정 국가에 의존하는 품목이다.

산업부는 5개 협력모델을 통해 2025년까지 1000명의 신규고용과 1350억원의 신규투자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정부는 소재 연구에 데이터와 AI를 접목해 신소재 개발 기간과 비용을 줄이는 ‘데이터 기반 소재연구 혁신허브 구축·활용방안’도 확정했다.

디지털뉴딜과 연계해 데이터·인공지능(AI)을 소재연구에 활용하고 신소재 개발 기간·비용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 소재 연구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공유·활용하는 ‘혁신허브’와 전용 초고성능컴퓨팅 환경을 구축한다. 2021년까지 데이터 420만건을 조기 확보한다. 수집된 연구데이터를 활용하도록 ▲소재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등 3대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