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의 전유물처럼 여겨지던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는 중소기업이 늘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유도하는 한 방법으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제조 업계에서는 정부 노력으로 스마트공장 분야 양적 성장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지만, 질적 성장을 위한 고도화 작업은 더디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마트공장 현장방문한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스마트공장 현장방문한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최근 중소기업벤처부(이하 중기부)는 2017년 말 기준으로 전국에 5000개쯤인 스마트공장을 2020년 2만개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 정부 지원사격 힘입어 2019년 스마트공장 도입 가속화 전망

중기부는 2014~2017년까지 5300개쯤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2018년 11월 기준 7000개를 넘어섰다. 2019년에는 3000개를 추가로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도입 후 긍정적 성과도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중기부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 2800곳의 사업성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성과 매출, 영업이익이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인상의 여력이 생기며 고용도 업체당 평균 2.2명씩 증가하는 효과가 있었다.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 10곳 가운데 7곳은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인다. 공정과 작업조건 개선으로 생산성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또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가 실시한 실태조사 자료를 보면,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 672곳 중 70.2%가 ‘매우 만족’이거나 ‘다소 만족’이라고 답했다. 만족 이유(복수응답)로는 ‘생산성 향상’이 46.3%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공정 간소화’(31.3%), ‘근로환경 개선’(26.5%) 순이었다.

예산을 대거 확보한 정부의 통 큰 지원도 2019년 본격화될 전망이다. 중기부는 2019년 스마트공장 확대를 위해 2661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2018년 782억원보다 240% 늘어난 수치다.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사전컨설팅. /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사전컨설팅. /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금도 2배쯤 늘어난다. 2018년 미 구축 기업 당 최대 5000만원이 지원됐지만, 2019년 1억원으로 금액이 증액될 예정이다.

◇ 아직 걸음마 수준 ‘스마트공장'… ‘고도화'는 또 다른 숙제

정부의 의욕 덕분에 스마트공장의 양적 성장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질적 성장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의 수준은 낮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마트공장의 수준을 크게 4단계(기초, 중간1, 중간2, 고도화)로 나눌 때, 아직은 기초단계에 머무는 곳이 많다는 것이다.

중기중앙회가 2018년 10월 실시한 ‘정부지원 스마트공장 구축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7년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에 참여한 5003개사 중 77.4%는 기초단계다. 중간1 20.7%, 중간2 0.6%로, 고도화 단계는 0%다.

스마트공장 고도화에는 구축비용이 걸림돌 중 하나로 꼽힌다. 스마트공장은 기초→중간1→중간2로 단계가 높아질수록 총 구축비용 역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정부는 고도화를 위한 지원금도 늘렸다. 2019년 예산안에 따르면 2018년 1억원이었던 (스마트공장)고도화 지원금 단가를 2019년 1억5000만원으로 인상했다. 또 신규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121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고도화를 위해 계속 비용 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며 "(스마트공장 구축수준이)높은 단계일수록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융자지원사업 금액도 2018년 3300억원에서 2019년 5000억원으로 늘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