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화웨이 제재 여파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한국 기업에게는 반사이익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힘을 실으면서 향배에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이번 제재 해제가 지난해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를 받았던 중국 IT업체 ZTE 사례와 유사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ZTE는 지난해 4월16일 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미국 기업과 7년간 거래 금지 제재를 받았다. 이후 양국 정부가 나섰고, 두 달이 지나지 않은 지난해 6월7일 ZTE가 벌금과 일종의 보증금을 내는 조건으로 미국 정부는 제재를 풀었다. 화웨이 사례와 유사하게 ZTE도 퀄컴 등으로부터 칩 공급을 받지 못해 스마트폰 사업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됐다. 두달이 안되는 짧은 기간을 봤을때 피해는 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화웨이 로고 / 자료 화웨이
화웨이 로고 / 자료 화웨이
화웨이도 해결 구도는 비슷하게 전개되겠지만, ZTE와 비교해 장기화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이런 예측에는 화웨이 영향력이 ZTE를 넘어서기 때문이다. ZTE는 세계 4위의 통신장비업체인데 반해 화웨이는 30% 안팎의 글로벌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달린다. 스마트폰에서도 삼성을 위협하는 2위다. 비상장사라는 조건도 맷집이 쎈 요인이다. 주가나 주주사 관리 부담이 없다. 화웨이는 지분 구조가 명확히 알려지지 않은 가운데 중국 공산당 자금이 들어가 있다는 소문이 나온다. 정귀일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화웨이는 남미와 아프리카 등에 확고한 시장을 확보하고 있어 이번 제재로 점유율이 큰 폭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통신장비 특성상 일시에 교체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실제로 화웨이는 미국 행정부와 IT기업들의 조치에 전혀 흔들리지 않는 모습이다. 화웨이 창업자 런정페이는 21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제재로 5G 사업에 절대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미국은 우리의 힘을 과소평가한 것"이라고 밝혔다.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 / CNBC 갈무리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 / CNBC 갈무리
현재의 구도를 볼 때 ZTE 경우와 비교해 장기화 가능성은 크다. 그럼에도 해를 넘기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도 자국 IT기업들이 5G 시대 주도권을 잡기 위해서는 중국 시장 선점을 해야하는 만큼 분쟁 장기화를 원치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트럼프 행정부 조치 후 구글, 인텔, 퀄컴 등이 바로 동참한 데에는 정부와 업계가 충분한 협의가 있었을 것이란 분석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 IT기업들이 정부 조치에 바로 동조를 했지만 그렇다고 자사의 이익을 해치면서까지 협조하지는 않는다"며 "향후 시장 동향 등을 충분히 검토해 적절한 시점에 해결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