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다 피차이 구글 최고책임자(CEO)가 각국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첨단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는 IT기업이 아닌, 정부와 사회가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했다.

순다 피차이 구글 CEO./ 유튜브 영상 갈무리
순다 피차이 구글 CEO./ 유튜브 영상 갈무리
20일(현지시간) 순다 피차이는 파이낸셜타임스 기고를 통해 "AI는 수십억명 삶의 질을 향상시킬 힘과 향상시키지 못하게 만드는 힘, 모두를 갖고 있다"며 "AI 기술은 일정 정도 정부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규제가 필요한 대표 사례로 안면인식 기술과 딥페이크를 꼽았다.

그는 다만 "기술 종류에 따라 규제를 다르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분야는 기존 의료분야 규제를 중심으로 서비스 영역을 조금씩 넓힐 수 있다. 반면 자율주행 자동차는 신규 영역이라 정부가 사회적 혜택과 비용을 종합해 새로운 규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순다 피차이는 앞서 20일 유럽싱크탱크가 개최한 행사에서도 안면인식 기술이 활용보다 규제도입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안면인식 기술은 부정적인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가 악용을 막기위한 제도를 먼저 만든 후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브랏 스미스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법률책임자(CLO) 역시 "안면인식 기술은 감시목적으로 악용될 가능성을 막기 위한 규칙이 필요하다"고 동의했다. 다만 그는 "실종아동 찾기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며 순다 피차이 의견에는 조금 다른 견해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