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감이 가라앉으며 거품론이 나오던 메타버스가 계묘년을 맞아 다시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가전·IT 박람회 ‘CES 2023’ 무대가 그 기회다. 올해 CES는 다양한 기업이 메타버스 관련 기술력을 선보이면서 기대감을 다시 키울 계기가 될 전망이다. 정부의 메타버스 진흥 의지 역시 해가 달라져도 이어지고 있다.

CES 2023 개막을 이틀 앞둔 3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3 언베일(Unveil) 행사에서 비햅틱스가 진동으로 촉감을 전달하는 ‘택트글러브’와 ‘택트수트’를 선보이고 있다. / 뉴스1
CES 2023 개막을 이틀 앞둔 3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2023 언베일(Unveil) 행사에서 비햅틱스가 진동으로 촉감을 전달하는 ‘택트글러브’와 ‘택트수트’를 선보이고 있다. / 뉴스1
CES 주요 키워드 ‘메타버스’

새해를 맞은 메타버스 업계의 최대 화두는 CES다. CES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메타버스다. 1월 5일(현지시각)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이번 CES 2023에서 혁신상을 받은 국내 기업 34곳 중 대다수가 메타버스 관련 기업이다. 피앤씨솔루션, 레티널, 버시스 등 34개 스타트업은 메타버스 가상인간 생성로봇, 증강현실(AR) 렌즈, AR 스마트글래스, 메타버스 뮤직 솔루션 등으로 CES 2023 혁신상 48개를 수상했다.

메타버스 열기는 본행사에도 이어진다. 롯데정보통신은 부스에 초실감형 메타버스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CES에서 게이밍/메타버스/XR 존에 부스를 마련했다. 메타버스 인천공항을 둘러볼 수 있도록 앱을 개발 중인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이번 CES에서 관련 기술을 소개한다.

레티널은 올해 AR 글래스용 광학기계를 공개하고 AR 글래스 대중화를 이끌어 메타버스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리콘랩스는 메타버스 분야에 적용할 인공지능(AI) 기반 3D 생성기술과 앱을 선보인다. 지이모션은 메타버스 서비스를 위한 의상 제작과 시뮬레이션 SW를 선보인다. 또 메타버스 디지털 쇼룸을 구현하고 디지털 휴먼이 시연하는 전통 검무 비디오도 소개한다. 이 외에도 KOTRA 통합 한국관을 통해 참가한 딥픽셀, 에핀 등AR 의상 피팅 솔루션과 메타버스 기반 전투훈련 시뮬레이터를 전시한다.

메타버스 표준포럼 합동교류회 "메타버스 정의하겠다"

민간 영역에서는 메타버스를 직접 정의한다. 메타버스 표준포럼 합동교류회는 올해 메타버스를 정의하고 관련 백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합동교류회에는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각 분야 기술표준 관련 포럼 및 협회 등이 참여하고 있다.

기술표준은 규격화를 통해 불필요한 개발을 사전에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합동교류회는 정례회의를 열고 한국이 메타버스 관련 기술표준을 선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정상권 실감형 혼합현실 기술포럼 의장 겸 조이펀 대표는 "합동교류회는 다양한 국제표준기구 움직임을 고려해 메타버스를 정의하겠다"며 "메타버스 콘텐츠처럼 가상과 현실의 유기적인 연동까지 최대한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메타버스 생태계 육성 힘 싣는 정부

일찌감치 메타버스를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정부 역시 메타버스 생태계 육성에 힘을 실을 전망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월 메타버스 생태계를 육성하기 위해 ‘메타버스 신산업 선도전략’을 수립했다. 이는 국가 차원의 전략으로는 세계 최초 사례다. 이러한 메타버스 진흥 의지는 윤석열 정부에서도 이어졌다.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로 메타버스 경제 활성화와 메타버스 산업 진흥을 선정했다. 메타버스를 미래 경제와 사회 혁신을 이끌 신산업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는 지역 특화 메타버스 발굴을 위한 ‘메타버스 허브’를 늘린다. 지난달 28일 개소식을 진행한 ‘동북권 초광역 메타버스 허브’가 그 예다. 동북권 초광역 메타버스 허브는 동북권(경북, 강원, 대구) 지역 기업지원 통합 거점시설이다. 과기정통부는 경기도 판교에 있는 메타버스 허브를 전국으로 확산해 지역 거점을 구축하고 있다.

다만 정부의 메타버스 육성 전략 구체화는 시간이 다소 걸릴 전망이다. 지난해 발표 예정이던 ‘메타버스와 게임물 구분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결국 해를 넘긴 것이 이유다. 최소한의 규제를 적용해 메타버스를 육성해야 한다는 점에는 정부 부처 간 의견이 일치했지만 세부사항을 조율하고 있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