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업계 중 최근 가장 부산한 영역은 아마도 파워서플라이 분야일 것이다. 인텔 ‘하스웰’의 출시를 앞두고 메인보드, CPU 등 여러 업계가 바삐 움직이고 있지만, 파워서플라이 업계는 오는 7월부터 의무적으로 인증을 거쳐야 시장에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KC 인증’과, 보다 세밀해진 하스웰의 전력관리 기능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습이다.

 

최근 몇몇 파워서플라이 제조·판매 기업이 하스웰 관련 지원 리스트를 발표하는 등 행동에 나서는 이유도 소비자들이 이런 파워서플라이 관련 이슈에 대해 그 해결의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일각에서는 이번 기회가 그 동안 시장에 난립해온 저가 파워서플라이를 퇴출시키고, 온전한 품질을 갖춘 제품이 시장에 자리잡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론 KC 인증에 따르는 추가비용으로 인해 파워서플라이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이라며, 가뜩이나 수요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PC 업계에 또 다른 악재가 되지나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분위기이다.

 

 

■ 새 프로세서 ‘하스웰’이 왜?

 

인텔의 새 프로세서 하스웰과 파워서플라이와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최근에 제기된 이슈다.

인텔은 사용자가 장시간 PC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작업 중이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CPU의 동작속도를 크게 낮춘다. 이 상황에서도 일정 시간 사용이 없으면 해당 정보를 데이터의 유실 우려가 없는 HDD에 옮기고 전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거의 모든 부분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런 일련의 동작 시스템은 PC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이 켜져 있을 때, PC가 소모하는 전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일명 ' C-State'로 불리는 이 기능이 하스웰에 이르러 더욱 강화되며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만들어졌다.

 

 

인텔 하스웰은 전작에 비해 프로세서의 전력 사용량을 보다 능동적이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프로세서다. 인텔은 이를 위해 기존에 없던 C6/C7 모드를 새로 추가했다. 기존의 메인보드들은 대개 C6까지 지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008년 2월 발표된 인텔의 'Power Supply Design Guide for Desktop Platform Form Factors' 리비전 1.2에 기재된 ATX 2.31을 살펴보면, 300W 이상 출력을 갖는 파워서플라이의 최소 대기전류를 0.5A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올 4월 개정된 리비전 1.31에서는 최소 전류를 0.05A로 대폭 낮춘 것이 확인된다. 새로운 전력관리모드의 추가와 함께 이를 정상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도 변화한 것이다.

 

 

현재 몇몇 테스트 결과가 리포트 되고 있는데, 다행스럽게도 ATX 2.31을 지원하는 파워서플라이 대부분은 하스웰의 전력관리 기능을 모두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를 지원하지 않는 파워서플라이와 연결될 경우 하스웰 프로세서가 C6/C7 모드로의 진입을 막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보다 낮은 버전. 적어도 2009년 이전에 생산된 파워서플라이, ATX 2.31 미만 버전의 파워서플라이라면 오동작의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스웰과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하이버네이션 모드 동작 직전 시스템이 급격히 불안정해지거나, UVP/OVP 등의 보호회로가 동작하며 예기치 않게 시스템이 꺼져버리는 사태가 벌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KC 인증’은 또 뭐지?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기관이 필요에 따라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은 총 234개에 달한다. 이같이 방대한 종류의 인증제도는 이를 확인해야 하는 소비자에게도, 그리고 제품을 만들어 이 인증을 거쳐야 하는 제조자나 판매자들에게도 상당한 골칫거리가 아닐 수 없다.

 

KC 인증은 이렇게 복잡하고 방만한 인증제도를 하나의 인증으로 통합해 관리하는 새로운 인증 시스템으로, 지난 2009년 7월 1일부터 지식경제부가 도입해 운영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국가간 협정을 준수하거나 통상마찰 방지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 법정의무인증제도에서 마크가 필요한 경우엔 반드시 KC마크를 사용하도록 관련법규가 정비됐다. KC 국가통합 인증마크 홈페이지(http://www.kats.go.kr/kcmark/)에 따르면, 현재까지 5개 부처의 13개 의무인증마크가 KC마크로 통합된 상태이다.

 

 

기존 KCC 인증을 수행하면 됐던 PC의 파워서플라이 등은 오는 7월 1일부터 KC전기용품 자율안전확인 인증을 필수적으로 받아야만 한다. 이 안전인증은 파워서플라이 자체로의 안정성 외에, 제품의 제조에 사용된 각 안전관리 부품과 재질에 대한 테스트까지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파워서플라이는 기존의 전자파 적합 인증에 더불어 자율안전 인증까지 통과해야 KC 마크를 부여 받고 시장에서 판매될 수 있다.

 

업계는 이런 인증 강화가 파워서플라이의 가격을 다소 상승시키는 악재가 될 수도, 반대로 최소한의 품질도 갖추지 못한 파워서플라이를 시장에서 몰아내는 호재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파악하는 분위기. 길게는 두 달 가량 소요되는 인증기간, 전자파 인증과 자율안전인증을 모두 진행하는 데 300만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IECEE(국제전기기기상호인증제도)가 진행하는 공인 인증 제도인 CB를 통과한 제품에 대해서는 해당 리포트를 인정하고 있어 글로벌 파워서플라이 제조업체의 제품을 국내에 수입·판매하는 기업들에게는 다소 유리한 측면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인증절차 간소화에 따르는 기간의 단축일 뿐, 인증에 따르는 비용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 업계의 대응을 살펴보자

 

파워서플라이 업계도 연일 비상 상태다. 이미 CB인증을 통과한 리포트를 가진 몇몇 기업은 느긋하게 생각하던 중 뜻하지 않은 하스웰 관련 호환성의 이슈로 갑자기 부산해지고 있으며, 강화된 KC 인증 준비에 여념이 없던 기업들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하스웰의 파워서플라이 이슈에도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 돼 버렸다.

 

 

IT조선은 금주부터 주요 파워서플라이 제조·공급업체별로 현재 파워서플라이 시장에 불고 있는 양대 이슈에 각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어떤 전략으로 시장에 대응할 지를 들어보고자 한다.

 

추후 이어질 기사를 통해 현재 제기되고 있는 파워서플라이 업계의 이슈에 대한 각 기업들의 인식과 대응책, 그리고 향후 전략을 살펴볼 수 있다.

 

 

오국환 기자 sadcafe@chosunbiz.com

상품지식 전문뉴스 IT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