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가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비상경영 돌입을 선언했다.

./ MBC 제공
./ MBC 제공
조능희 기획조정본부장은 31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신사옥 M라운지에서 열린 MBC 경영 상황 및 괴롭힘 조사 결과 발표 관련 기자간담회에서 "비상경영이 불가피한 상황에 처해있다"며 "비상경영에 대해서는 지난주에 방송문화진흥회에 보고했다"고 말했다.

MBC는 3년 연속 대규모 적자가 비상경영의 원인이라고 밝혔다. 2018년 MBC 영업손실은 1237억원으로 2017년대비 적자 폭이 증가했다. MBC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 영업손실만 400억원에 달한다. 이 같은 추세라면 2019년 적자 규모가 9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선제적으로 적자 최소화를 위해 임원 임금 10% 삭감 및 업무추진비 30% 반납, 전 직원 연차수당 현금보상한도 축소는 시행 중이다. 8월 1일부터는 조직 축소와 해외지사 효율화, 파견 대상 업무 축소, 프로그램의 탄력적 편성 등의 추가 조치를 해 2018년 대비 140억원쯤의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다.

노동조합과 협상을 통해 '영업성과와 상여금 연동', '임금 피크제 확대 적용', '기타 추가 조치 강구' 등을 추진한다. 2020년에도 올해 대비 500억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하는 자구노력을 시행한다는 점도 밝혔다.

조 본부장은 종편과의 비대칭 규제도 언급했다. 중간광고 추진이 안 돼서 지상파 방송 3사는 대규모 적자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그는 "아무리 시청률 1위를 해도 수익으로 연결이 안 된다는 게 최대 고민이다. 지상파뿐만 아니라 모든 방송계의 고민"이라고 말했다.

조 본부장은 "중요 드라마 같은 경우는 편당 1억 이상에서 1억5000만원 이상"이라며 "광고 수익이 떨어지니, 이러다가 시청자와 국민에게 콘텐츠로 보답해야 하는 방송사의 사명을 못하게 되는 상황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비상경영을 하게 된 것이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간광고가 적자보전책으로 쓰인다는 비판도 나온다. 중간광고를 도입하더라도 이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장의 커진만큼 효과가 미비할 것이란 지적도 있다.

MBC는 방송발전기금제도의 개선도 요구했다. 조 본부장은 "2000년 이후 MBC 본사와 지역 네트워크의 방발기금 분담액은 6600억 원에 달하는데 적자가 나더라도 광고 매출의 일정 부분을 분담해야 한다"며 "지상파, 종합편성채널, 케이블이 경쟁하고 있는 현 상황에 맞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