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통신 분야 글로벌 기업인 스페이스X가 국내 시장에 눈독을 들이지만, 사업권 확보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 정부는 대대적인 위성통신 사업을 펼치지만, 아직은 토종 기업의 경쟁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다. 외산 기업이 비집고 들어올 틈은 거의 없다는 말이다.

14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방위사업청과 함께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을 위한 협력에 나섰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을 국방 분야에 활용하겠다는 의지다.

인공위성 이미지/ iclickart
인공위성 이미지/ iclickart
비슷한 시기 미국 우주항공기업 스페이스X는 한국 진출 소식과 함께 군사용 위성 서비스 출시 소식을 전했다. 한국이 만든 장비와 부품을 구매해 사용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시기적으로 스페이스X의 정부 주도 사업 수주 등 시장 진출과 관련한 핑크빛 전망이 나올 수 있지만, 실제로는 사업적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는 지상망 파괴로 통신 불통 상황에 빠졌다. 하지만 저궤도 위성을 활용해 군 통신망을 운영하며 기사회생했다. 이들이 사용한 위성 기술이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다.

한국 정부는 6G 시대에 앞서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는데, 외산 기업의 기술을 활용하는 대신 토종 기술력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통신 탑재체 ▲본체 ▲시스템 및 체계종합(조립, 발사, 운용 등) ▲지상국 ▲단말국 등 5개 분야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2024년부터 2031년까지 8년간 5900억원 규모 예산을 신청했다. 현재 1단계 예비타당성조사가 진행되는 중이다.

과기정통부가 확보한 예산은 국내 기업의 기술력 확보에 투입된다. 해외 기업에 비해 기술력과 우주 검증 이력이 부족하지만,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힘을 보탠다. 물론 해외 선진 기술 도입이 필요하다면 협력할 수도 있지만, 일단은 정부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 시범망 구축 및 실증에는 국내 기업이 합류한다.

과기정통부 한 관계자는 "법규정대로 사업자 공모를 할거라 해외사업자라고 해서 참여를 막진 않겠지만 스페이스X가 들어올 가능성은 제로라고 본다"며 "국내 사업자 기술력을 강화시키는 게 목적인 사업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 사업자들과 기술개발 등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국제 공동연구를 할 수도 있지만 사업 목적은 국내 사업자들 기술력 강화다"고 강조했다.

국내 한 위성통신 기업 관계자는 "스페이스X는 거대 자본을 가진 위성기업으로 국내 진출설이 돌면서 기업들이 경계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면서도 "하지만 지상망이 촘촘한 국내에서 사업을 하려면 공공분야에 들어오는 방식 뿐일텐데 보안을 중요시여기는 공공시장에서 해외 기업을 달가워하지는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내 기업들이 아직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에서 경쟁력이 뒤쳐질지는 몰라도 곧 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스페이스X 같은 거대자본이 없는 우리 기업들의 경우 서로 힘을 합치는 콜라보 형태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이인애 기자 22na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