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똑똑’ 두드려 사물을 인식하고 서비스를 실행하는 신기술이 나왔다. 빈 물통을 스마트폰으로 건드려 물을 주문하는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성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노커 기술’을 1일 소개했다.

스마트폰으로 물병을 건드리면 ‘노커 기술’이 물병을 인식해 물 주문과 같은 서비스를 실행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스마트폰으로 물병을 건드리면 ‘노커 기술’이 물병을 인식해 물 주문과 같은 서비스를 실행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노커 기술은 스마트폰에 탑재된 센서와 기계학습 소프트웨어를 활용한다. 추가 장비 없이 사물을 인식한다. 어두운 곳에서도 작동하고 모든 사물에 태그를 붙이지 않아도 돼 기존 카메라·전자태그 대체 기술로 평가된다.

물체를 ‘노크’해 생긴 소리, 진동 등 반응을 스마트폰의 마이크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로 감지한다. 이어 수집한 데이터를 기계학습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해 분석, 사물을 인식한다.

연구팀은 책, 노트북, 물병 등 일상 사물 23종으로 실험한 결과 혼잡한 도로나 식당 등 잡음이 많은 공간에서 정확도 83%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실내에서는 정확도가 98%까지 오른다. 사물 인식에 드는 시간은 상용 스마트폰(구글 픽셀2) 기준 0.2초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로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기 전 침대를 스마트폰으로 두드려 불을 끄고 알람을 맞추는 등 기술 활용 사례 15가지를 소개하기도 했다.

이성주 교수는 "특별한 센서나 하드웨어 없이 기존 스마트폰 센서와 기계학습만으로 ‘노커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며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어 활용 분야가 다양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기정통부의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 및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9월 유비쿼터스 컴퓨팅 분야 저명 학회인 ‘ACM 유비콤(ACM UbiComp)’에도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