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부터 5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에도 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된다. 근로시간 규정 위반 시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지만, 실행 주체인 기업이 법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KT비즈메카는 이같은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15일 오후 서울 구로지밸리컨벤션에서 ‘주 52시간 근로시대 반드시 준비할 것'이라는 주제로 무료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했다. IT 솔루션 기업 에이앤티와 이촌회계법인이 함께 한 이번 행사에는 120여 명의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가 참석했다. 평일임에도 큰 규모의 행사장을 가득 메울 정도의 인파가 몰리면서 업계의 고민이 적지 않음을 드러냈다.

교육을 진행하는 전병옥 공인노무사. / 김평화 기자
교육을 진행하는 전병옥 공인노무사. / 김평화 기자
참석자 중 한 명인 김효원 씨는 "회사 차원에서 제도 도입에 조급함을 느끼고 있어 팀원과 같이 왔다"고 말했다. 김명화 씨도 "도입 시기가 다가오다 보니 회사 내부에서도 대응을 준비 중이다"라며 "미리 알아둬야 할 것 같아서 참석했다"고 답했다.

박상호 씨는 "우리 회사는 주 40시간을 지키고 있지만 추가 근무가 예외로 생길 수밖에 없다"면서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면 놓치는 부분이 생기진 않을지 그 유무를 파악하려고 왔다"고 말했다.

강연을 맡은 전병옥 공인노무사는 ▲근로기준법 기초 법리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른 근로시간 운영 변화 ▲근로시간과 가산수당 관리 전략 등을 설명하며 청중의 이해를 도왔다.

전 노무사는 "노동법의 역사는 근로시간의 역사다. 근로시간을 어떻게 운영하고 관리할 것인지를 고민해온 시간이었다"라며 "주 52시간제로 근로시간 기준과 휴게, 휴일과 휴가 등 운영 원칙을 새로 정하는 곳이 많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원칙 설정 후 실질 운영"이라고 강조했다.

과거의 업무 형태는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 출근해 같이 퇴근하면서 업무의 동질성이 강했다. 이제는 각자마다 업무 방식과 근로 시간이 달라지다 보니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성’을 잘 관리하는 게 핵심이라는 설명이다.

행사장을 채운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들. / 김평화 기자
행사장을 채운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들. / 김평화 기자
기존의 업무 총량을 줄일 수 없는 기업이라면 근무 시간을 다양화해 유연근로제를 도입하는 게 낫다고 그는 지적했다. 각 사업장을 분야별, 직무별로 ▲탄력근로제 ▲선택근로제 ▲재량근로제 등을 구분해 적용해야 한다는 것.

▲간주시간제 ▲자율출퇴근제▲시차출근제를 나누는 일도 상황에 따라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성수기와 비수기가 나뉘는 업종은 탄력근로제가 낫지만, 근로시간(근로일)별로 업무량 편차가 큰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디자인 업종 등은 선택근로제가 알맞다. 외근이 잦은 영업직이나 A/S 업무는 간주근로제가 적합하다.

다만 기존의 근태 관리 방식으로는 사업자가 주 52시간 근무제를 모두 챙기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대안으로 기술적 보완을 다수가 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사람의 손으로 직접 종이와 엑셀 파일에 출퇴근 시간과 각종 근무 시간을 기입하는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근태 관리에서도 자동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KT비즈메카는 이촌회계법인과 손을 잡았다. 회사의 분야별, 근무 조건별로 최적화한 근태관리 솔루션을 중소기업에 제공한다. 이날 행사에서 해당 솔루션 교육뿐 아니라 솔루션 기반의 컨설팅까지 선보였다.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들이 김균도 노무사에게 컨설팅을 받는 모습. / 에이앤티 제공
중소기업 인사 담당자들이 김균도 노무사에게 컨설팅을 받는 모습. / 에이앤티 제공
정청와 KT비즈메카 사업팀 차장은 "주 52시간 근무제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 어려움을 겪는 곳이 많아 도움을 주고자 무료 교육을 진행하게 됐다"라며 "이번이 2차 교육인데 1차(70명)보다 사람이 확연히 늘어나 120여 명이 왔다. 중소기업의 관심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KT비즈메카에 따르면 1차 교육은 참가 신청 하루 만에 137명이 지원했다. 2차에서는 그보다 늘어난 200여 명이 지원하는 등 업계의 이목을 모았다는 설명이다.

정 차장은 "내년 1월 도입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3차, 4차 교육까지 진행해 각 기업에 주 52시간제가 잘 안착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고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