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는 직장인 부업이 확산세지만, 아직 부업을 인정하지 않는 기업 역시 64%에 달한다. 부업제도 도입을 망설이는 회사는 직원의 부업 활동이 본업에 지장을 줄 것으로 예상하는 등 기업별로 여전히 걸림돌이 있다.

일본 현지 빌딩가. / 야후재팬
일본 현지 빌딩가. / 야후재팬
일본 정부는 부업을 적극 권장한다. 후생노동성은 2018년 1월 부업·겸업을 원칙적으로 금지했던 기존 노동법을 개정해 노동자가 근무시간 외 다른 회사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각 기업들이 부업제도를 도입할 것을 적극 장려하고 나선 바 있다.

그 결과, 직원들의 부업을 인정하는 기업이 급속도로 증가했고, 만성적인 인력부족 문제를 겪었던 기업들의 인재 부족 고민도 해소할 수 있었다. 직장인들 역시 코로나19 등 경기불황으로 줄어든 수입을 부업으로 보충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최근 2년간 부업 활성화와 관련해 현지 정부와 사회적으로 큰 움직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절반이 넘는 기업이 부업제도 도입을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매체 IT미디어가 도쿄에 본사를 둔 2852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직원의 부업을 금지하는 기업은 2020년 10월 30일 기준 조사 참가 업체의 절반 이상인 64.3%로 나타났다. 직원들의 부업을 전면적으로 인정하는 기업은 6.3%, 조건을 내걸고 부업을 인정한 기업은 28.6%로 집계됐다.

조사 범위를 도쿄가 아닌 일본 전국으로 확대한 설문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도출됐다. 취업정보업체 리쿠르트가 전국 주요 기업 1648곳의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 따르면, 아직 부업제도를 도입하지 않았다고 밝힌 기업은 2021년 4월말 기준 전체의 절반쯤인 50.5%에 달한다. 부업제도가 없다고 답한 기업 중 앞으로도 직원들의 부업을 인정하지 않을 것으로 밝힌 곳은 60.9%다.

직원들의 부업을 인정하지 않는 기업이 내세운 명목상 이유는 ‘업무효율'이다. IT미디어 조사에 따르면, 67.7%의 기업은 ‘본업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이유를 내걸었다. 복수응답으로 ‘직원의 건강관리 문제'를 거론한 기업은 34.7%, ‘산업재해 등 직원의 노무관리 어려움'을 꼽은 기업은 23.3%다. ‘회사의 기밀정보와 노하우 유출'을 문제 삼은 기업도 22.8%로 나타났다.

부업제도 도입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기업이 ‘인재유출'을 가장 두려워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카와카미 아쯔시 토요(東洋)대학 교수(경제학부)는 "수많은 기업이 부업을 금지하는 이유는 인재유출 리스크가 커지기 때문이다"고 일본인사부 인터뷰를 통해 말했다.

그는 "실제로 기업가 25%는 부업자라는 데이터가 있고, 본업을 둔 채 회사를 세우는 것은 회사 설립에 따른 위험도를 낮추는 길이다"며 "직장인이 회사를 옮기는 이직도 마찬가지로, 부업을 통해 관심을 두던 회사를 경험한 뒤 이직을 결정하는 것이 직장인들에게는 이직에 따른 리스크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카와카미 교수는 "부업 경험자 대부분은 본업도 부업도 프로답게 행동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이런 직원들에게 ‘본업을 우선시 해달라'는 말을 함부로 꺼내지 못한다"며 "부업을 금지하는 기업의 속내는 직원들이 부업에 나섰을때 발생하는 시간·건강관리 문제에 비용을 쓰기 어렵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형원 기자 otakukim@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