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영전략 컨설팅사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가 ‘자산의 미래2022(Future of Asset 2022) - 천조원 부의 신대륙, 자산 디지털 민주화의 시작’ 보고서에서 ‘2026년 한국 가상자산 시장 규모가 1000조원이 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 보스턴컨설팅그룹(BCG)
/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또한 관련 산업과 기업에서 4만 명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되고, 5조원의 경제적 생산 가치가 생길 것으로 봤다. 2030 세대를 중심으로 한 개인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잠재력이 큰 또 하나의 자산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보스턴컨설팅그룹은 우리나라 가상자산 관련 산업의 발전 성숙도는 해외보다 3~5년 뒤처졌으며, 시장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통한 규제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BCG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는 2021년 말 기준 4300조원 수준이며, 한국 시장도 300조원을 돌파했다.

BCG는 2026년까지 한국 가상자산 규모가 1000조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 배경은 2020년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 규모를 기준으로, 이 중 한국이 약 10%를 차지한다고 보고, 2026년까지 연평균 20%씩 성장할 것으로 근간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2030세대는 이미 가상자산을 재산의 형성과 확장을 이뤄 줄 새로운 대안으로 인식한다고 봤다. 과거의 젊은 세대는 소득을 고금리 예적금으로 모으고, 약간의 주식투자와 대출 등을 더해 집을 마련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전통적인 자산 형성 방법만으로는 내 집 한 채 살 수 있는 종자돈 마련이 어렵다 보니 가상자산에 주목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대중이 가상자산을 받아들이는 속도에 비해, 한국 가상자산 관련 산업의 성숙도는 높지 않다고 BCG는 진단했다. 최근 5년간 사회적으로 가상자산에 대한 논의는 활발했으나, 이해 수준과 시각의 차이로 명확한 방향성이 제시되기 어려웠다는 점을 지적했다. BCG 분석 결과 거래소, 발행, 투자 및 파생상품, 수탁(custody), 결제 등 다섯 가지 영역에서 글로벌 대비 한국의 가상자산 산업 성숙도는 평균 3~5년 뒤처져 있다.

보고서는 또, 정부 및 감독 당국에 가상자산과 관련된 변화를 장려하고 지원할 것을 제언했다. 미국∙ 일본∙싱가포르∙스위스 등 각국은 가상자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며 규제 프레임워크를 구축했지만, 한국은 가상자산에 대해 규제는 시작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진단했다. 가상자산 대부분의 영역이 불법이라는 입장 아래, 관련 산업을 전면 금지하거나 단순히 개념을 소개·도입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전했다.

물론 이는 시장 조성 초기의 불법적 이슈를 지도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으나, 이제 가상자산업의 발전 속도와 흐름을 감안하면,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통한 규제 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가상자산은 기존 개정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금법)이 규율하는 자금세탁방지 영역에 속해 있다. 이 외에 가상자산 관련 산업 전반을 법 제도 안으로 들여오려면 특금법 등 기존 법안에 가상자산 조항 추가, 자본시장법 내 편입, 가상자산 업권법 제정 등이 검토해 볼 수 있는 방안이라고 제시했다.

김윤주 BCG 코리아 MD(매니징 디렉터) 파트너는 "앞으로 5년간 가상자산 산업에서 누가 다음 구글과 아마존이 될 것이냐를 두고 국경 없는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질 것이다"라며 "여기서 우리나라가 주도권을 잡으려면 민간과 정책 양쪽 모두의 노력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새롭게 등장할 가상 자산 사업자는 물론이고 전통 금융기관과 기존 핀테크의 빠른 전략적 대응이 중요하며, 정책 역시 규제 감독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산업발전을 함께 고려하는 방향으로 한발 내디뎌야 할 시점이다"라고 덧붙였다.

하순명 기자 kidsfoca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