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와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 디즈니 등 글로벌 OTT가 광고 삽입형 저가 요금제를 추진하는 가운데 국내 OTT 기업들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자칫 저가 요금제 도입이 새로운 규제를 만드는 이유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 조선 DB
넷플릭스. / 조선 DB
광고 요금제 도입, 수익성 개선 위한 글로벌 OTT 전략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는 자사 OTT HBO맥스와 디스커버리 플러스를 통합한 OTT 플랫폼을 준비하면서 광고 삽입형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디즈니 플러스와 넷플릭스 등 대형 글로벌 OTT 역시 광고 삽입형 저가 요금제를 검토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광고 요금제를 도입하는 이유는 시장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넷플릭스의 유료 가입자는 올해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20만명, 97만명 감소했다. 가입자 감소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졌다. 이에 넷플릭스는 본격적인 수익성 개선에 나섰다. 5월에는 1분기 실적발표 후 계정 공유 금지 및 광고 삽입형 저가 요금제 도입 검토를 시작했다. 150명의 직원을 구조조정하는 한편 높은 수익률을 가진 프로그램을 우선 제작하는 것으로 전략도 바꿨다. 영국 해리 왕자 부인 메건 마클과 기획한 애니메이션 제작도 중단했다.

후발 OTT들은 이용자 확대를 위해 이 같은 요금제 도입을 추진한다. 광고 삽입을 통해 광고주로부터 광고비를 받고, 저렴한 요금으로 이용자 층까지 넓힌다는 계산이다.

웨이브와 티빙, 시즌, 왓차 등 국내 OTT 기업도 새로운 요금제에 높은 관심을 보인다. 국내 역시 시장 상황이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이들 기업은 지난해 모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치열한 경쟁에 콘텐츠 투자비가 늘어난 것이 이유다. 광고 요금제가 대안으로 떠오른 배경이다. 이에 글로벌 OTT가 국내에 이 같은 요금제를 도입할지 여부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광고 요금제 국내 도입 시 OTT 규제 본격화 우려

문제는 국내 환경이 외국과 달라 선뜻 도입하기에는 어렵다는 점이다.

우선 OTT를 주관하는 부처가 문화체육관광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등으로 나뉘어 있다는 점이다. 각 부처가 OTT를 제도권으로 넣으려 하면서 정책이 산재해 있는 상황이다. 실제 정부는 OTT의 법적 지위 규정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OTT를 전기통신사업법상 부가통신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영상진흥기본법상 콘텐츠 유통 플랫폼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방통위는 OTT에 다수 법령이 산발적으로 부여한 법적 지위를 일원화 및 명확화하기 위해 시청각미디어서비스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서비스 분류체계는 수평적 규제 원칙에 따라 콘텐츠·플랫폼 등 서비스 기능별 분류체계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이로 인해 국내 OTT 업계는 늘어날 규제를 우려하고 있다. OTT 업계는 OTT가 콘텐츠 서비스이자 플랫폼 서비스이라는 점을 들며 규제가 중복 적용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OTT업계 한 관계자는 "방통위가 시청각미디어서비스법으로 방송과 OTT를 함께 규제하려고 한다"며 "하지만 방송과 OTT는 분명 다른 서비스이자 다른 시장으로써 통합 규제는 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광고 기반 OTT를 하게 된다면 이런 규제 흐름이 더 본격화되면서 방송산업처럼 OTT산업을 규제산업으로 만들어버릴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