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튜브를 비롯한 소셜미디어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우한폐렴) 관련 사실과 동떨어진 허위정보가 확산되고 있어 방지책에 관심이 모인다. 정부가 차단과 시정명령 등 행정조치를 내놓고 소셜미디어 업계는 허위정보를 잡아내려는 노력에 총력을 다하지만 마땅한 해결책은 보이지 않는다. 업계는 불안감을 타고 빠르게 퍼져나가는 가짜뉴스 확산을 막을 수 있는 마땅한 해법이 없다고 지적한다.

허위뉴스가 급증하자 소셜미디어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허위뉴스를 판단하는 기준을 담은 콘텐츠도 인기를 모으고 있다./트위터 화면 갈무리
허위뉴스가 급증하자 소셜미디어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허위뉴스를 판단하는 기준을 담은 콘텐츠도 인기를 모으고 있다./트위터 화면 갈무리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페이스북과 유튜브, 트위터를 통해 허위뉴스가 계속 확산되고 있다.

빠르게 확산되는 우한 폐렴 관련 가짜 뉴스

일부 인터넷 맘카페와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 등에는 수원의 한 고등학교 학생이 5번째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로 판명됐다는 뉴스가 확산됐다. ‘보충수업 도중 쓰러진 학생을 근처 성빈센트병원으로 데려가 바이러스 검사를 받았고 1차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와 격리 중이며 학생의 학교도 바이러스 검출을 하고 있다’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해당 뉴스는 SBS 속보처럼 보였지만 실제는 고등학생 두 명이 조작한 것으로 사실이 아닌 가짜뉴스다.

울산에서도 우한 폐렴 의심 증상자가 발생했다는 소문이 소셜미디어와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퍼졌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가짜뉴스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문제로 지적된다. 이미 트위터와 페이스북에는 일부 국가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했다는 게시물이 빠르게 확산된다. 하지만 이는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내용이다. 현재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한 곳은 홍콩이 유일하다. 이 마저도 상용화까지는 임상 기간을 포함해 1년여가 걸릴 전망이다.

페이스북에는 중국에서 가짜 치료제를 사용하다 18만명이 사망했다는 내용을 담은 영상이 확산된다. 유튜브에서도 바이러스 관련 허위정보를 담은 콘텐츠가 계속 생산된다. 정제되지 않은 정보로 인해 불안감만 높이는 셈이다.

페이스북·구글·트위터 등 "불안감 높이는 가짜 뉴스 막자"

이에 페이스북과 구글, 트위터 등 해외 사업자는 가짜뉴스 확산을 막기 위해 다양한 방지책을 내놓고 있다.

페이스북은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9가지 허위정보가 확산된다며 관련 게시글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9가지 허위사실에는 오레가노 오일이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에 효과적이라거나 미국은 이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했다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트위터는 이용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해시태그 검색 내용을 미국 질병 통제예방센터(CDC)에 전달할 예정이다. 한국 트위터에서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검색하면 질병관리본부 공식계정이 최상단에 뜬다. 유튜브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콘텐츠를 우선 노출하는 알고리즘을 도입해 운영 중이다.

정부차원에서도 가짜 뉴스 확산을 막기위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대책을 내놨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해 사회 혼란을 야기하는 정보 모니터링을 1월 28일부터 실시했다. 국내외 포털과 소셜미디어, 유튜브 등에서 확산되는 허위정보를 가려낸 뒤 이를 통신심의소위원회에 안건으로 상정한다. 방심위는 소위원회 결정에 따라 사업자에 삭제 등 시정요구를 내린다.

방지책 효과 있나

하지만 효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다. 시정요구가 실제로 집행되기까지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소위원회는 대체로 주 1회 열린다. 온라인에서 실시간으로 정보가 확산되는 속도를 물리적으로 따라잡기엔 역부족이다.

유튜브나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해외 서비스에서 늘어나는 가짜뉴스를 막기위해 직접 시정요구를 내리기도 어렵다. 국내 법을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나마 우리 정부가 해외 사업자에 취할 수 있는 조치는 아예 국내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 뿐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일부 해외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기 위한 보다 강력한 조치로 SNI(Server Name Indication)필드차단 방식을 지난해부터 도입하고 있다. SNI필드차단 방식은 차단 대상 사이트 목록에 접속하려고 할 때 통신사업자가 기계적으로 접속을 차단하는 조치 중 하나다. 이럴 경우 유튜브나 페이스북 사이트 자체를 차단해야 한다. 특정 게시물만을 대상으로 ‘핀셋차단' 할 수 없다.

방심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SNI차단 방식 이상의 효과적인 해외 유해 콘텐츠 차단 방법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 행정조치인 시정요구와 사업자 자율규제를 함께 병행하는 것이 현재로서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다"라며 "국내뿐 아니라 해외 사업자도 자체적으로 허위정보가 유통되는 것을 최대한 막아달라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학계에서도 소셜미디어와 유튜브에 있는 허위정보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지적한다. 완벽한 차단이 어려워서다. 하버드대학 산하 언론 및 정책연구소인 쇼렌슈타인 센터에서 기술 및 사회변화 연구를 담당하는 존 도노반 연구자는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에서 "여전히 과학자들은 특정 정보가 확산되는 경로를 정확히 설명해내지 못한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는 2016년 발생했던 지카 바이러스 관련 사실을 전하는 게시물보다 허위정보를 담은 콘텐츠가 더 인기가 높았던 사례를 들며 "전염병 발발은 소셜미디어가 해로운 정보를 낳는 계기가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