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이 미국 바이오벤처 테라이뮨과 손잡고 자가면역질환 퇴치에 나선다.
SCM생명과학은 테라이뮨과 자가면역질환 세포치료제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SCM생명과학은 테라이뮨과 자가면역질환 세포치료제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SCM생명과학의 고순도 줄기세포와 테라이뮨의 조절T세포(CAR-Treg)를 병합 투여하는 치료법을 자가면역질환에 적용한다. 바이러스를 사용하지 않는 2세대 CAR-Treg 치료제 공동개발에도 착수한다.
이 과정에서 SCM생명과학은 원천기술인 ‘층분리배양법’을 이용해 고순도 줄기세포를 분리·배양한다. 회사 측은 이처럼 균질한 단일클론성, 즉 단일세포에서 유래된 줄기세포를 활용하면 환자 개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한편 테라이뮨의 CAR-Treg는 최근 항암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CAR-T와 유사한 개념의 치료제다. 기존에 면역항암제에서 주로 사용되던 세포독성 T세포 대신 조절 T세포를 사용함으로써 자가면역질환에 적용할 수 있다는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세포독성 T세포의 경우 면역계가 과도한 반응을 보여 체내에 스스로 해를 끼치는 사이토카인 폭풍(과잉 염증반응) 등 부작용을 유발하고는 했지만, 조절 T세포를 사용하면 이런 부작용이 최소화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김연지 기자 ginsburg@chosunbiz.com
이 과정에서 SCM생명과학은 원천기술인 ‘층분리배양법’을 이용해 고순도 줄기세포를 분리·배양한다. 회사 측은 이처럼 균질한 단일클론성, 즉 단일세포에서 유래된 줄기세포를 활용하면 환자 개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한편 테라이뮨의 CAR-Treg는 최근 항암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CAR-T와 유사한 개념의 치료제다. 기존에 면역항암제에서 주로 사용되던 세포독성 T세포 대신 조절 T세포를 사용함으로써 자가면역질환에 적용할 수 있다는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세포독성 T세포의 경우 면역계가 과도한 반응을 보여 체내에 스스로 해를 끼치는 사이토카인 폭풍(과잉 염증반응) 등 부작용을 유발하고는 했지만, 조절 T세포를 사용하면 이런 부작용이 최소화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김연지 기자 ginsbur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