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료, 가능 영역부터 차근차근 시행하면 가능

"원격의료는 이미 정해진 미래입니다. 차근차근 근거를 확립하고, 비용 효과와 법적 제도를 고민한다면 의료 환경이 효과적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정용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27일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주최로 이뤄진 ‘원격의료: 현재와 미래’ 행사에서 이같이 말했다.

정용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유튜브 갈무리
정용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유튜브 갈무리
원격의료는 의료인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먼 곳에 잇는 의료인 등에게 의료 지식이나 기술을지원하는 것을 일컫는다. 미국과 중국, 싱가포르 등 해외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수요가 늘면서 원격의료 서비스가 확대됐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수 많은 원격의료 관련 회사가 설립됐는데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자 간 의견 충돌 등으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정 교수는 "원격의료에는 장단점이 있다"며 "전문적이고 시의적절한 긴급진료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할 수 있지만, 또 한 편으로는 개인정보보호 문제와 의료 퀄리티 저하에 따른 오진 가능성, 의료 남용 문제 등이 단점으로 지적된다"고 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단점은 모두 현대 과학기술로 해결이 가능한 부분이다"라고 짚었다.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 정 교수는 "의료정보 전산화에 따른 유출 가능성이 높다"며 "데이터 통합 기술이나 마이데이터처럼 개인 스스로가 데이터를 관리하는 PDS(Personal Data Store), 블록체인 기술 등을 통해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의료 퀄리티 저하와 관련해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기술, 원격 진찰 보조기술, 햅틱 기술, 생체데이터 취득 및 분석 기술을 통해 시진과 청진, 촉진, 타진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과도한 접근성과 조기진단 등으로 인한 의료 남용에 대해 정 교수는 "진료에 대해 실시간으로 크로스체크하고 진료 패턴과 양 등을 모니터링한다면 해결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특히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과 데이터 처리, 빅데이터 분석기술 등이 강화된다면 원격의료를 도입하기 보다 수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정용 교수는 원격의료가 정해진 미래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미 은행과 레스토랑 등에서 사람들은 원격 서비스를 경험하고 있고, 관련 기술도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있다"며 "원격의료 기술도 점차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시대의 흐름을 무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원격의료가 가능해진다면 의료 개념은 ‘질병 치료’에서 ‘질병 예방·관리’로, 주체 역시 의사에서 환자와 고객 중심으로 바뀔 것이다"라며 "원격의료는 모든 현상이 데이터화되는 미래 시대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김연지 기자 ginsbur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