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주도하는 행정·공공기관 대상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사업을 둘러싼 논란 해결을 위해 민관 소통 협의체를 가동한다. 행안부는 앞서 2021년 2025년까지 1만9개의 행정·공공기관 정보 자원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통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하지만, 정부가 주도하는 공공 클라우드 센터 비중이 절반을 넘어가 민간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를 저해한다는 지적을 받았다.

클라우드 이미지 / 아이클릭아트
클라우드 이미지 / 아이클릭아트
행안부는 17일 이같은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들과 소통 협의체를 만들고 첫 회의를 연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행안부는 향후에도 수시로 논의가 필요한 이슈가 있을 때마다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상시적으로 협의체를 열 계획이다.

첫 회의에는 네이버클라우드, KT, NHN, 가비아를 비롯한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CSP)와 베스핀글로벌 같은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사업자(MSP)와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기업들을 포함한 50개 안팎의 국내 클라우드 기업들이 참여한다.

협의체에 참가할 예정인 한 클라우드 기업 관계자는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에서 각 기관의 CSP 선정 기준이 불투명한 문제가 있다"며 "기존 시스템통합(SI) 사업자들이 다수 참여하는 만큼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이 SI 사업 형태로 흘러가지 않도록 해달라는 의견을 제시할 듯하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그동안 공공 클라우드 센터를 둘러싼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들의 오해를 풀겠다는 입장이다. 앞으로의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계획을 먼저 발표한 후 다양한 주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행안부 디지털자원정책과 관계자는 "하이브리드 연결을 위해 망 분리 등 보안에서 풀어야 할 문제들이 많다"며 "클라우드는 기존과 다른 방식이기 때문에 이용 과금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나와 있는 SaaS는 정부기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공공 SaaS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 지에 대한 숙제도 있다"며 "사업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정부가 앞서서 기업이나 기관과 풀어나가야 할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외산 클라우드 기업들은 이번 협의체에 참여하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을 획득해야 공공 시장 진출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현재는 행정안전부의 ‘행정·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활용 가이드라인’에 따라 KISA의 보안인증을 받은 IaaS와 SaaS만 공공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에 향후 보안인증에 대한 행안부 가이드라인이 개정된다면 외산 기업들이 참여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해외 클라우드 업계 한 관계자는 "공공기관들 중에서 글로벌 사업자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싶어하는 수요가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인공지능(AI)이나 양자컴퓨팅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는 국내 사업자가 제공하지 못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도 있기 때문에 일부 사업에 대해서는 외산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주는 방향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외산 클라우드 기업 참여 가능성에 선을 긋진 않았다. 행안부 관계자 역시 "처음 가보는 길이기 때문에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이라는 확답을 할 수 없다"며 "외산과 국산 클라우드 기업을 구분 짓기보다는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자체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고 말했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