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부터 3년간 약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분산매각 실시

오는 2022년이면 우리금융지주가 완전 민영화된다. 정부가 보유 중인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18.3%를 2020년부터 매각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우리금융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 이뤄진 부실정리 작업을 24년만에 마무리하는 셈이다.

 . / 조선DB
. / 조선DB
금융위원회는 24일 열린 공적자금관리위원회에서 결정된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방안을 25일 발표했다.

금융위는 "우리은행 지주전환 완료에 따라 장기적 성장기반이 마련된 만큼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잔여지분 매각방안 로드맵을 제시한다"며 "예금보험공사 잔여지분 매각은 2020년부터 시작해 2022년 마무리한다"고 밝혔다. 3년간 약 2~3차례에 걸쳐 최대 10%씩 분산 매각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금융회사 구조조정 과정에서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한빛은행 등 5개 금융기관에 투입했다. 이후 지분매각 등 꾸준한 공적자금 회수에 노력해 11조1000억원을 회수했다. 회수율은 87.3%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예금보험공사에서 우리금융 지분 18.32%를 보유했다. 이를 이유로 일각에서는 잔여지분 매각시기가 시장 불확실성으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또 완전 민영화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금융위는 "잔여지분의 조속하고 완전한 매각을 목표로 향후 매각일정을 미리 제시해 시장 불확실성과 불필요한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했다"며 "공적자금 회수와 민영화를 빠른 시일내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매각 방식은 2016년 과점주주 매각 당시 활용한 희망수량경쟁입찰 방식을 활용한다. 기존 과점주주나 최소입찰 물량을 충족하는 대규모 투자자 등 신규 투자자가 대상이다. 매각물량은 매회 10%다. 이는 과점주주체제 안정 유지 필요성과 분산매각에 따른 주가 변동 부담 최소화와 금융지주 전환에 따른 기업가치 제고 효과를 위해서다.

희망수량경쟁입찰에도 유찰되거나 남은 물량은 '블록세일(잔여 물량의 최대 5%)'로 처리할 예정이다.

또 정부는 안정적인 매각을 위해 사외이사 추천권 등 투자 유인책을 제시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인 투자 유인책은 투자자 동향 분석과 기존 과점주주 협의 등을 거쳐 매각공고에 반영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에는 국내외 투자여건을 점검하고 2020년부터 3년간 매각소위 심사와 공자위 의결을 거쳐 매각을 실시하게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