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쿠팡플레이를 구독했다. 예능스타 ‘주현영 기자'를 탄생시킨 SNL오리지널 콘텐츠가 재밌다는 이야기가 돌 때만 해도 망설이던 참이었다. 이미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등을 구독하고 있는 터라 비용 부담을 느꼈다. 그러다 마음을 바꾼 것은 최근 수지 ‘인생작'으로 불리는 드라마 ‘안나'였다. 재밌다는 입소문과 감각적인 예고에 매료돼 쿠팡플레이를 구독을 시작했다.

기대를 충족할 만큼 안나는 재밌었다. 그렇지만 굳이 구독을 유지할 이유는 없어, 구독 해지를 선택하려던 찰나. 쿠팡플레이의 ‘손흥민 경기' 중계 소식이 들려왔다. 이미 한달에 OTT 비용으로 3만원쯤을 지불하고 있었지만, 그래도 ‘5000원쯤 추가 부담은 괜찮다’ 고 생각하게 됐다. 구독을 해야 경기를 볼 수 있으니 말이다. 실제로 나와 비슷한 선택을 한 이용자들 또한 상당할 것으로 예상한다. 업계에 따르면 쿠팡플레이는 지난달 전달 대비 구독자 60만명이 늘어나며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최근에는 시리즈 경기를 300만명이 시청한 것으로 파악된다.

OTT 춘추경쟁시대의 핵심은 ‘킬러 콘텐츠'다. 특히 중요한 것은 지속성이다. 이용자들의 구독 갱신 결정 주기에 맞춰, 새로운 킬러 콘텐츠를 끊임없이 선보이는 OTT는 이렇게 소비자의 구독 해지를 망설이게 만든다. 쿠팡플레이는 최근 그 성공 사례를 보여준다. 오리지널 콘텐츠 ‘어느날'과 ‘SNL’로 관심을 갖게 만들었고, ‘안나'와 ‘스포츠’로 이용자들의 마음을 흔들었다. 이처럼 일정 주기로 해당 볼거리를 찾을 수 있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OTT의 핵심 전략이다.

그런데 이용자들을 매료시킬 수 있는 킬러 콘텐츠에는 엄청난 ‘제작비'가 필요하다. 예컨대 쿠팡의 첫 오리지널 시리즈였던 ‘어느날'의 제작비는 100억원, 넷플릭스 ‘스위트홈' 제작비는 총 300억원으로 알려졌다. 안나의 구체적 제작비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적지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정도 규모의 돈이 들어간 콘텐츠가 정기적으로 공급돼야 이용자의 구독 중단을 막을 수 있다. 계산을 해보면 매년 1200억원쯤 이상이 안정적으로 들어가야 한다는 의미다.

결국 ‘쩐의 전쟁'을 버틸 수 있는 극소수의 OTT만이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국내 토종 OTT들은 모두 그렇게 ‘전쟁'을 하고 있다. 지난해 웨이브와 티빙, 왓챠 등 국내 OTT 기업은 일제히 수백억원대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웨이브는 558억원, 티빙은 762억원의 적자를 봤다. 왓챠의 손실액도 248억원이다. 콘텐츠 확보를 위해 제작비에 엄청난 돈을 쏟아부은 결과다.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아 "제작비 투자를 멈출 순 없다"고 말한다. 그러면 "뒤쳐진다"고 말한다. OTT업계는 앞으로 누가 더 오래 ‘쩐의 전쟁'을 감당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는 듯하다.

현존하는 OTT들은 얼마나, 언제까지 버틸 수 있을까? 볼거리가 풍성한 OTT경쟁에서 이용자들이 즐거운 고민을 할 수 있는 행복한 시간은 얼마나 지속될까. 막대한 자본력을 가진 외국계 플랫폼이나, 많은 투자를 유치한 OTT 극소수를 제외하곤 10년쯤 안팎으로 대부분의 국내 OTT들이 정리될 것이라는 비관적 생각이 든다. 그래도 K콘텐츠 ‘애청자'로서 이 생각이 틀리기를 바란다.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국가적 차원에서 넷플릭스 같은 해외 공룡 OTT에 맞서 우리나라 OTT들의 경쟁력을 보전해 줄 수 있는 지원책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OTT업계에서 주장하는 세제혜택이나 제작비 지원이 진지하게 고민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은주 기자 leeeunju@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