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1년 10월 전국 단위로 발생한 KT 인터넷 장애와 같은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의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을 올해 시행한다. 주요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작업 관리 체계과 구조를 개선하고 서비스 복원력을 높이는 내용을 담았다.

세종시에 있는 과기정통무 건물 전경 일부 / IT조선 DB
세종시에 있는 과기정통무 건물 전경 일부 / IT조선 DB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9일 2022년 제2차 통신재난관리심의위원회(심의위원회)를 개최했다.

제2차 심의위원회는 이날 2022년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변경안을 심의, 의결했다. 본래 2021년 9월 마련됐지만 그해 12월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추가로 마련함에 따라 이를 반영하면서 의결이 추가로 진행된 경우다.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 방안은 2021년 10월 발생한 KT 전국 네트워크 장애가 재발하지 않도록 이를 방지하고자 나왔다. 이번 방안에는 11개 주요 통신사업자의 2022년 이행 계획을 반영했다.

2022년 통신재난관리기본계획 변경안에는 주요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오류와 대응 역량을 제고하고자 네트워크 작업 관리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주요 통신사업자의 물리·가상화 모의 시험 체계와 작업 관리 및 통제 시스템을 도입, 개선하는 식이다. 다만 중소 사업자는 시스템 구축 등에 따른 부담을 고려해 2024년까지로 이행을 연기했다.

또 통신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통신 서비스 생존성을 확보하고자 주요 통신사업자의 코어망·가입자망 등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선하는 안을 담았다. 통신 재난 발생 상황에서 통신 서비스의 신속한 정상화를 위해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4사간 협력으로 서비스 복원력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다. 통신 4사는 무선망 상호 백업 체계와 재난 와이파이 체계 구축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그밖에 물리적 재난의 예방·대응 강화와 인공지능(AI)과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SDN) 등의 신기술을 적용한 통신 재난 관리 혁신, 체계적 통신 재난 관리를 위한 담당자 지정 등의 내용도 추가로 반영했다.

과기정통부 측은 "2021년 KT 장애 사고 후속 대책으로 마련한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며 "주요 통신사업자의 통신 재난 예방·대응 역량을 강화하면서 디지털 경제와 사회 발전을 뒷받침하는 견고한 네트워크를 구현하고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평화 기자 peaceit@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