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장수 기업중 하나인 독일 지멘스는 ‘인더스트리 4.0’으로 불리는 4차 산업혁명의 원조이자 진원지로 꼽힌다. 한때는 굼뜨고 노회한 전통기업의 대명사였던 지멘스. 4차 산업의 광풍이 분지 10년이 지난 지금, 그들은 어떻게 진화해 있을까?

IP미니멀리즘

19세기부터 각종 기계장치를 만들고 다뤄온 테크 종가답게 지멘스는 보유특허량 역시 세계 탑클래스를 자랑해왔다. 하지만 2012년도를 기점으로 US특허 기준, 지멘스의 특허출원은 눈에 띄게 준다.

지멘스 US특허 출원추이 (건수, 2019~2020년도 미공개구간) / USPTO·윈텔립스
지멘스 US특허 출원추이 (건수, 2019~2020년도 미공개구간) / USPTO·윈텔립스
EU특허 추이를 보면, 이같은 변화를 더욱 확연히 알 수 있다. 불과 3년전만 해도 유럽 제1의 특허출원기업은 부동의 지멘스였다. 그러나, 지금은 중국과 한국 등 신흥 아시아권 국가는 물론, 미국 기업에도 밀려, 자신의 안방에서 조차 4~5위권을 유지하는데 그친다. 그런데도 지멘스의 표정에선 별다른 초조함이나 아쉬움을 읽을 수 없다. 왜일까?


최근 3년간 유럽특허 출원 TOP5 (단위 건수) / EPO(유럽특허청)
최근 3년간 유럽특허 출원 TOP5 (단위 건수) / EPO(유럽특허청)
아래 그래프는 IoT, 즉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주요 글로벌기업 특허의 양적·질적 변화추이를 시계열로 도식화한 것이다. 지멘스 특허를 보면, 마이크로소프트나 IBM 대비 양은 절반수준에 불과하나, 특허의 질은 해가 갈수록 증가세를 보인다. 조사대상 업체 대다수가 질적 하향 또는 정체를 보일 때도, 지멘스의 IoT특허 퀄리티는, 특히 최근들어 뚜렷한 수직상승 기조를 띄고 있단 걸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다출원주의의 포기이자, IP미니멀리즘의 시작을 의미하는 시그널이다.


주요 글로벌 테크기업의 보유특허 양&질 분석 / 렉시스넥시스
주요 글로벌 테크기업의 보유특허 양&질 분석 / 렉시스넥시스
HW→SW로의 전이

출원특허를 기술별로 나눠보면, 해당 업체가 지금 어느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지난 2000년만 해도, 지멘스의 관심은 온통 IPC 특허분류코드상 H, 즉 전기소자와 같은 단순 하드웨어 제품에 꽂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전기측정 관련 소프트웨어(IPC코드: G) 특허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그 자리를 꿰찼다. 한해 전체 출원량의 절반에 가까웠던 기존 하드웨어 특허는 후순위로 밀려난 상태다. 19세기 중반 증기기관과 같은 기계 제조업체로 출발한 지멘스다. 하지만, 설립 170여년이 지난 현재, 지멘스는 MS나 IBM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어엿한 세계 10대 소프트웨어 회사중 하나다.

2000 vs 2018 지멘스 특허기술 변화 / 윈텔립스
2000 vs 2018 지멘스 특허기술 변화 / 윈텔립스
관련 특허 하나 보자. 미 특허청이 2019년 공개한 지멘스의 ‘공장내 디지털 정보검색과 구현’이라는 특허다. 하나의 공장이 제대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현장에 나가 각종 기계장치며 생산라인을 수시로 체크하고 관리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사고도 잦고, 사람이 하는 일이라 오류도 종종 발생한다. 이 특허는 웨어러블 글래스 등을 작업자에게 착용시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기법을 통해 이같은 사고와 오류를 방지하면서도, 보다 정확한 생산라인 체크와 관리가 이뤄지도록 한다.

지멘스 ‘공장내 디지털 정보검색과 구현’ 특허 대표도면/ USPTO, 페이턴트피아
지멘스 ‘공장내 디지털 정보검색과 구현’ 특허 대표도면/ USPTO, 페이턴트피아
예컨대, 기존에는 작업자의 수기나 휴대단말기 입력을 통해 관리되던 기계 오작동 유무 등 공장내 각종 정보가 작업자의 웨어러블 글래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서버에 자동 전송된다. 이렇게 모인 정보는 데이터스토리지상 연산과정을 거쳐, 현장 근무자나 시스템 오퍼레이터에게 최적의 작업지시가 이뤄지도록 한다. IoT 기반의 진정한 스마트 팩토리가 구현되는 순간이다.

M&A와 매입 활발..유연한 IP정책

2020년 11월 지멘스는 네덜란드 컴퓨터 시뮬레이션 SW 전문업체 컬기를 인수했다. 그 전에는 설계자동화 SW업체 멘토그래픽스를 45억달러에 합병하는 등 최근 5년간 지멘스가 사들인 업체는 모두 4곳이다. 이같은 M&A를 통해 확보한 특허만 총 1933건이다. 또 지멘스는 필요한 특허가 있으면 자체 연구개발을 고집하기 보단, 바로 사다 쓰는 유연함도 보인다. 이렇게 매입한 특허가 3666건에 달한다.

CIPO의 역할

지멘스 IP거버넌스 혁신에는 이 회사 CIPO, 즉 최고지식재산책임자인 비트 바이벨 수석 부사장이 있다. 스위스 ABB에서 IP업무를 총괄하던 바이벨 부사장이 지멘스에 합류한 건 지난 2013년. 당시만해도 지멘스 특허는 단순히 현장 개발자들의 기술과 제품개발을 위한 부산물 정도였다는 게 바이벨 부사장의 회고다. 하지만 그는 특허가 지멘스 비즈니스를 위한 가치창출에 기여하길 원했다. 일례로, 현장 엔지니어선에서만 이뤄지던 신규특허 출원 프로세스를 변리사 등 IP팀과 반드시 공조토록 했다. 해당 특허가 전사적으로 봤을 때 가치가 있는가, 기술이 아닌 사업 관점에서 봤을 때 꼭 필요한 특허인가부터 묻고 따진다. 지멘스의 IP혁신에서, 21세기 특허 비즈니스의 현주소를 본다.


비트 바이벨 지멘스그룹 CIPO(부사장) / 지멘스
비트 바이벨 지멘스그룹 CIPO(부사장) / 지멘스
※ 외부필자의 원고는 IT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유경동 IP컬럼니스트

윕스 전문위원과 지식재산 전문매체 IP노믹스 초대 편집장, 전자신문 기자 등을 역임했습니다. EBS 비즈니스 리뷰(EBR)와 SERICEO에서 ‘특허로 보는 미래’를 진행중입니다. IP정보검색사와 IP정보분석사 자격을 취득했습니다. 저서로는 △특허토커 △글로벌 AI특허 동향 △특허로 본 미래기술, 미래산업 등이 있습니다. 글로벌 특허전문 저널 英 IAM 선정 ‘세계 IP전략가 300인’(IAM Strategy 300:The World’s Leading IP Strategists)에 꼽혔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