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및 기관의 79%, 전 세계 기업 및 기관의 81%는 생성형 AI가 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국내 기업의 77%, 전 세계 기업의 57%는 변화에 발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 테크놀로지스는 독립 연구 기관 밴슨 본(Vanson Bourne)에 의뢰해 실시한 ‘이노베이션 카탈리스트(Innovation Catalysts)’ 연구의 주요 결과를 소개했다. 이번 조사는 전세계 40개국 6600여명, 국내 300여명의 IT 리더 및 비즈니스 의사결정권자들이 참여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상당수의 기업과 기관에서 AI 및 생성형 AI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는 한편 변화의 속도를 인식하고 혁신을 가속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기업의 72%, 전세계 평균 82%가 현재 업계에서 경쟁 우위를 위해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탄탄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63%, 전세계 평균 48%는 향후 3~5년 후 업계가 어떤 모습을 보일지 불확실하다고 답했으며, 국내 기업의 77%, 전세계 기업의 57%는 변화에 발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혁신 추진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으로 적합한 인재 부족, 예산 부족,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사이버 보안 문제를 꼽았다.
많은 조직에서 생성형 AI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조직들은 생성형 AI에 대해 생산성 향상, 고객 경험 개선, IT 보안 태세 개선에 있어 혁신적이며 상당한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답했다.
국내 기업의 81%, 전세계 기업의 82%는 생성형 AI 구현 시 예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프레미스 또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내 기업의 70%, 전세계 평균 68%는 생성형 AI가 새로운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고 우려했으며, 국내외 조직의 73%는 데이터와 IP가 대단히 중요하기 때문에 제3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생성형 AI 툴에 저장할 수 없다는 데 동의했다.
생성형 AI는 실제 구현의 단계로 전환되며 현실적인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위험성과 책임 소재의 문제가 꼽힌다. 국내외 조직의 76%는 AI 오작동 및 원치 않는 동작에 대한 책임이 기계, 사용자 또는 대중이 아니라 조직에 있다는 데 동의했다.
또한 국내 기업의 78%, 전세계 기업의 83%는 미래 세대를 위해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AI 규제를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75% 이상이 소수의 손에 AI의 힘이 집중되면 경쟁의 어려움과 시장 불균형이 초래될 것으로 전망했다.
사이버 보안 또한 중요한 문제다. 전세계 응답자의 83%, 한국은 응답자의 88%가 지난 12개월 동안 보안 공격의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그리고 국내외 응답자의 89%가 제로 트러스트 구축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전세계 응답자의 78%, 국내 응답자의 69%가 사이버 공격이나 데이터 유출로부터 복구하기 위한 사고 대응 계획이 마련되어 있다고 답했다. 또한 최우선 과제 세 가지로는 멀웨어, 피싱, 데이터 유출을 지적했다.
생성형 AI와 같은 기술이 발전하고 데이터 양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인프라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확장 가능한 최신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기업이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가장 먼저 개선해야 할 분야로 꼽혔다.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공유하는 능력 또한 혁신을 위한 핵심 부분인데, 국내 기업의 30%, 전세계 기업의 33%만이 현재 데이터를 실시간 인사이트로 전환하여 혁신을 지원할 수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78%, 전세계 기업의 82%는 데이터가 경쟁력 차별화의 요소이며 생성형 AI 전략에 데이터 사용 및 보호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답해 조직이 이 과제에 대응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응답자의 절반은 향후 5년 내에 대부분의 데이터를 엣지에서 가져올 준비가 되어 있다고 답했다.
이 외에도, 국내 기업의 71%, 전세계 기업의 67%가 혁신에 필요한 인재가 부족하다고 인식하며, 학습 민첩성 및 학습 욕구, AI 유창성, 창의력 및 창의적 사고가 향후 5년 동안 가장 필요한 기술 및 역량으로 꼽혔다. 또한 국내 기업의 89%, 전세계 기업의 81%가 전략적 대화에서 IT 의사결정권자를 배제하는 이유를 가지고 있지만, 두 부서 모두 개선해야 할 중요 요인의 두 번째로 관계 강화를 꼽았다.
김경진 한국 델 테크놀로지스 총괄 사장은 “생성형 AI와 같은 혁신 동력에 대한 낙관론이 고조되는 동시에 기술로서 전환을 시도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는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강조하며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들로 구성된 강력한 에코시스템을 통해 안전하고 지속가능하며 확장이 용이한 기술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권용만 기자 yongman.kw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