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인간을 완전히 대체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금융 분야에서는 AI(인공지능)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은 대체될 것입니다”
크리슈나 쿠마르(Krishna Kumar) 구스할로 캐피탈매니지먼트 대표(CEO 겸 CIO)가 19일 오전 서울 여의도 FKI 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2024 디지털금융포럼’에 ‘AI가 바꿀 투자의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하며 이같이 말했다.
쿠마르 대표는 미국 뉴욕에서 AI 기반의 상장지수펀드(ETF) 상품을 운용하는 파생상품 전문가로 포트폴리오 매니저로도 활동하고 있다.
그는 “데이터와 뉴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AI는 우리가 해당 정보를 더 잘 소비하는데 도움을 준다”면서 “기술 발전과 데이터 증가, 투자자 기대가 높아진 상황에서 AI가 자료를 분석하고 인덱스 하는 것을 대신 해주는 단계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AI의 등장은 맞춤화, 초개인화를 가능하게 했다”면서 “투자자 니즈(수요)에 부합시키는 것이 큰 변화이자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쿠마르 대표는 일상 생활에서 AI를 도구로서 활용한다고 강조했다. 하루에도 수십개씩 쏟아지는 리포트 분석과 요약 등을 기반으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해서 접근한다는 것이다.
그는 “내가 한국으로 오면서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해 생성형 AI인 GPT에 질문했고 원인이라고 볼 수 있는 모든 변수를 질문했다”면서 “이를 통해 변수를 알고 있었고 서로의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며 사례를 들어 설명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AI는 개인이 몰랐던 사실, 간과했던 사실을 알게 해주고 이를 탐색할 기회를 제공한다”면서 “우리는 모르는 것을 질문하는 것을 부끄러워하고 꺼리는데, AI에 질문할 때는 이런 걸림돌이 없는 만큼 도구로서 활용하고 (업무상)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투자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생성형AI를 통한 투자에 대해서는 초개인화 어드바이스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꼽았다.
쿠마르 대표는 “생성형 AI는 공감 능력까지 곁들여서 고객이 공감할 수 있을 정도의 어드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서 “맞춤형 LLM(대형언어모델) 등이 큰 성과이며 우리 역시 ETF 맞춤형 LLM을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특화된 맞춤형 LLM이 더 많이 등장할 것이란게 쿠마르 대표의 설명이다.
특히 금융 분야에서 AI가 제공하는 ‘추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AI 추론은 두 가지 측면에서 유용하다”면서 “하나는 가능한 시나리오를 세우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조건법적인 추론이 가능하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특정 종목을 매수할 때 매수하지 않아야 할 이유에 대한 시나리오 설계와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AI 에이전트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AI 에이전트는 금융 AI의 가장 강력한 패러다임”이라면서 “에이전트는 기본적으로 함수 호출을 수행할 수 있는 LLM으로 투자자의 경우 기술 분석, 기본 분석, 지정학적 분석 등에서 추론이 가능하도록 한다”고 부연했다.
쿠마르 대표는 “AI에이전트는 생산성을 높이고 더 나은 투자 결정을 내리도록 한다”면서 “소규모 팀 역시 많은 데이터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