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AI)을 통한 디지털 전환(DX)을 뜻하는 'AX' 영역 고도화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업간거래(B2B), 마케팅을 넘어 인터넷TV(IPTV)에도 자체 개발 AI 기술인 '익시'를 심으며 'AIPTV(AI+IPTV)'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다. 

LG유플러스의 '인공지능(AI) 추천 by 익시'가 알아서 고객이 보고 싶어할 콘텐츠를 추천하고 있다. / 김광연 기자
LG유플러스의 '인공지능(AI) 추천 by 익시'가 알아서 고객이 보고 싶어할 콘텐츠를 추천하고 있다. / 김광연 기자

LG유플러스는 3일 용산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IPTV 특화 AI 에이전트인 '미디어 에어전트'를 IPTV인 U+tv에 적용했다고 밝혔다. 미디어 에이전트는 고객의 모든 TV 시청 여정에 적용되는 '지능형 시청 도우미'다. 

LG유플러스는 기자간담회 전 AI가 적용된 기능을 체험할 수 있도록 U+tv 체험존을 마련했다. 체험존에는 'AI 자막 by 익시', 'AI 추천 by 익시', '익시 음성챗봇'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AI 자막 by 익시는 방금 끝난 드라마와 다큐도 한글 자막을 보면서 편하게 시청하는 기능이다. 방송 종료 후 10분 내 자막을 제공하며 자막이 겹치면 자막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AI 추천 by 익시는 U+가 알아서 보고 싶은 콘텐츠를 추천한다. 인터넷TV 첫 화면부터 시청자 취향에 맞게 구성된다. 고객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가 잘 보이도록 배치한다. 특히 매일 새로운 취향을 저격해 이미 본 콘텐츠와 비슷한 내용의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추천한다. 시청자 관심사에 따라 생성형 AI 맞춤 추천메시지가 바뀌며 콘텐츠뿐만 아니라 구독 상품까지 제안한다.

익시 음성챗봇은 TV 시청 중 불편한 점이 생기면 음성으로 상담받을 수 있다. 리모컨에 음성으로 문의 시 문제 해결이 가능한 메뉴로 즉시 이동할 수 있다.

정진이 LG유플러스 미디어사업트라이브장(담당)이 기자간담회에서 말하고 있다. / 김광연 기자
정진이 LG유플러스 미디어사업트라이브장(담당)이 3일 기자간담회에서 말하고 있다. / 김광연 기자

정진이 미디어사업트라이브장(담당)은 기자간담회 후 고객 기분에 따라 U+tv 콘텐츠 추천 내용이 바뀌는지에 대해 "현재 탐색 중인 맥락과 연결되는 메뉴를 추천한다"며 "지금도 감성어를 알아듣지만, 올해 연말 '대화형 탐색'이 되면 시청자 기분에 따라 디테일하게 콘텐츠를 찾아주는 게 가능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조현철 데이터사이언스랩장(담당)은 이번 발표와 타사 간 차이점에 대해 "문구 추천 등과 같이 고객이 보다 편리하게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갔다는 점이 타사와의 차별점이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포화상태에 이른 통신시장을 뒤로한 채 AX를 새 미래 가치로 정하고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올해 4월 소상공인(SOHO) 고객 특화 통합 솔루션인 '우리가게패키지 AX솔루션'을 새롭게 출시한 데 이어 5월 AI 전환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회사가 되겠다는 의미를 담은 신규 브랜드 슬로건 '그로쓰 리딩 AX 컴퍼니(Growth Leading AX Company·AI 전환으로 고객의 성장을 이끄는 회사)'를 발표했다.

6월 'AX시대, 익시와 함께 성장하는 U+마케팅'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AI로 듣고, 상상하고, 실현하는 AX 마케팅 시대를 열겠다"고 선언했고 7월 B2B AX 사업 전략 간담회를 열고 AI 중심의 B2B 중장기 성장 전략 'All in AI'를 공개했다.

김광연 기자 fun3503@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