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금융지주 회장과 첫 만남을 가진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금융의 본질은 ‘신뢰’라며 내부통제 강화를 강조했다. 전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 임종룡 우리금융회장은 별다른 말없이 자리를 떴다.  

30일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금융지주회장 간담회' 참석자들이 간담회에 앞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김병환 금융위원장,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 황병우 DGB금융그룹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이석준 NH농협금융지주 회장. / 한재희 기자
30일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금융지주회장 간담회' 참석자들이 간담회에 앞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김기홍 JB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김병환 금융위원장,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 황병우 DGB금융그룹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 이석준 NH농협금융지주 회장. / 한재희 기자

김 위원장은 30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금융지주 회장 및 은행연합회장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번 간담회는 위원장 취임 후 이어진 금융권 릴레이 간담회의 마지막 일정으로 KB·신한·하나·우리·농협·DGB·BNK·JB 등 8개 금융지주사 회장이 참석했다.

이날 김 위원장은 가계부채 관리를 주문했다. 그는 “금리전환 국면 등 녹록지 않은 여건”이라면서도 “DSR 중심의 관리 기조하에 가계부채 증가추이에 따라 준비된 수단을 적기에 과감하게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계부채의 안정적 관리는 궁극적으로 금융권의 심사 기능과 리스크 관리 노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며 “금융지주회사의 자회사에서 가계부채 총량의 60%가 취급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금융지주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남은 3개월간 가계대출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 달라”며 “내년에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하향 안정화가 지속될 수 있도록 지주차원에서 책임감을 갖고 가계부채 관리 목표를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특히 금융회사의 내부통제를 강조했다. 그는 “2000년 금융지주회사법이 제정된 이후 금융지주의 자산 규모가 전 금융권의 45%에 이르는 등 크게 성장했다”면서 “금융지주회사가 우리 경제·금융의 핵심 플레이어로서 금융시장 안정과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그 위상에 걸맞은 역할과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의 본질은 신뢰”라면서 금융사고는 금융권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크게 저하시키는 사안”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금융지주 차원에서 책임감을 갖고 내부통제 강화를 통해 금융사고를 예방해야 한다”며 “책무구조도가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시범운영에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3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과의 간담회가 끝난 후 기자들의 질문에도 답하지 않고 건물을 빠져나갔다./김홍찬 기자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30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위원장과의 간담회가 끝난 후 기자들의 질문에도 답하지 않고 건물을 빠져나갔다./김홍찬 기자

전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임종룡 우리금융회장은 침묵을 지켰다. 임 회장이 굳은 얼굴로 건물에 들어서자 “전임 회장 부당대출 관련해 어떻게 책임을 질거냐” 등 질문이 쏟아졌지만 입을 꾹 다문채 행사장으로 향했다. 임 회장 주변에는 우리금융 홍보실 직원 6~7명이 에워싸며 취재를 막았다. 행사장에 여유롭게 입장한 다른 금융지주 회장과들과 비교되는 모습을 보였다.

행사가 끝난 이후에도 임 회장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며 건물을 빠져 나갔다. 임 회장의 거취와 생명보험사 인수‧합병 등 현안에 대한 모든 질문에 답을 하지 않았다.

앞서 지난 12일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기자간담회를 열고 김 위원장은 우리금융의 부당대출 책임론 공방 질문과 관련 “횡령, 부정대출 이슈 관련 우리은행과 지주에서 사고가 반복 되는 것에 금융권 신뢰가 크게 저하되는 사안”이라며 “금융위원장으로 매우 심각한 우려를 가지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어 “(임 회장 등 경영진)거취와 관련해 여러가지 얘기가 있지만 이 부분은 기본적으로 우리금융 이사회와 주주총회에서 판단할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한재희 기자 onej@chosunbiz.com

관련기사